• 아시아투데이 로고
“건설기업 10곳 중 4곳, 잠재적 부실기업…내년 이후 부실 본격화”

“건설기업 10곳 중 4곳, 잠재적 부실기업…내년 이후 부실 본격화”

기사승인 2023. 11. 28. 10:0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건설정책연구원 보고서…"한계기업 전체 18.7% 달해"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전경./연합뉴스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잿값·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급증과 지속되는 고금리 기조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이자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도 위험이 큰 한계기업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내년 이후 건설업계 부실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오름세를 지속해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이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된다.

지난해 이 배율이 1 미만인 잠재적 부실 건설기업은 업계 전체의 41.6% 수준인 929곳으로 집계됐다. 이 비중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도 컸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곳이었다. 이는 전체(최근 3년간 재무 자료가 존재하는 건설 외감기업 기준)의 18.7%에 해당하는 규모다.

건설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증가세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급격히 늘고 있다.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 333곳으로 뛰었다.

반면 대기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조사됐다.

건설 외감기업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체 비중
건설 외감기업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체 비중./대한건설정책연구원
한편 작년 건설업계 평균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5.4% 증가한 수치다.

반면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1.5%포인트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순이익률 역시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

작년 건설업계의부채비율은 전년(133.5%)보다 11%포인트 이상 오른 144.6%다.

건설기업들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투자와 부채를 늘려왔다. 하지만 작년부터 기준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고글미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이자비용이 급증, 부실 위험이 커졌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건설 자잿값이 지속 상승한 점도 수익성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경기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므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 부도 및 흑자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