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국 소도시, 2030년엔 현재 일본 2배 규모 소비력 갖출 것” 모건스탠리

“중국 소도시, 2030년엔 현재 일본 2배 규모 소비력 갖출 것” 모건스탠리

기사승인 2017. 06. 15. 14: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HINA-COLLEGE ENTRANCE EXAM-PREPARA..
사진출처=/신화, 연합


중국의 소도시 소비력이 거대해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14일(현지시간)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자료를 인용해 2030년까지 중국 소도시들이 9조 7000억 달러(약 1경 892조 원) 규모의 소비 시장을 이룰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수치는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 등 ‘1선 도시’와 텐진·시안 등 26개 ‘2선 도시’는 제외한 결과다. 모건스탠리의 전망대로라면 앞으로 중국 소도시들은 현재 일본 전체 경제 규모의 2배가 넘는 소비력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모건스탠리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 소도시들은 주민 등록 기준 중국 전체 도시 인구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명목 국내총생산(명목GDP·해당 시점의 물가를 반영해 국내총생산을 계산한 지표)의 59%를 담당하고 있다. 소도시라고 해서 꼭 시골의 작은 마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중국 북서부 간쑤(甘肅)성 최대 도시이자 성도인 란저우(蘭州)시 같은 경우 미국의 로스앤젤레스(LA)와 비슷한 크기다.

소도시 소비력의 증가 원인은 점차 소도시의 인프라와 교통 환경이 개선되고 있는 데다 정부 주도의 소득재분배가 성공적으로 이뤄진 점도 한 몫한다. 이외에도 대도시에 비해 집값이 비교적 낮다는 점 등 중요 요인으로 꼽힌다.

임금 수준도 상승하면서 이제는 대도시를 따라잡는 수준에 이르렀다. 소도시 가계의 인구 1인당 가처분 소득은 현재의 4482달러(약 504만 원)에서 2030년에는 2배 가까이 증가해 8261달러(약 929만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모건스탠리는 밝혔다. 이는 대도시의 64% 수준으로, 지난해 소도시의 가처분 소득은 대도시의 55%, 2006년에는 45% 수준이었다.



이처럼 성장하는 소도시의 잠재력을 보고 소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들도 크게 늘었다. 정부지출과 가계지출이 지난 1분기 소도시 경제 성장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소도시 경제가 과거의 공장에서의 생산 중심에서 서비스업 위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품·자동차·인터넷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특히 소도시의 성장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가령 2020년 중국의 박스오피스 매출은 800억 위안(약 13조 2500억 원)에 달할 전망인데, 소도시 거주민들의 티켓 판매율이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한 이들의 해외 여행도 크게 늘면서 여행산업도 새로운 붐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중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관광객들 대부분이 상하이·광동·베이징 등 대도시나 서해 인근의 장쑤성·저장성·산둥성 지역 출신들이다.

모건스탠리 보고서는 또한 소득 성장·저축률·고속도로 밀도 등을 기준으로 각 소도시들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했다. 장쑤(江蘇)성 수저우(蘇州)가 1위를 차지했으며 산둥(山東)성 타이안(泰安), 웨이팡 등이 뒤를 이었다.

도시화 비율이 낮은 점도 잠재력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도시화 비율이 아직 57.35%로 80%대인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낮다는 점인데, 이에 대해 리우 아이화 통계청 대변인은 14일 “우리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중국 내의 수요는 앞으로 더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이끌어갈 적절한 ‘운전수’를 찾는 것이 핵심과제”라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