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항우협, AAM 지원 필요성 제시… “2025년 상용화 지연 불가피”

항우협, AAM 지원 필요성 제시… “2025년 상용화 지연 불가피”

기사승인 2024. 08. 21. 17:5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항우협 '제3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 개최
허희영 항공대 총장 "단기적 해외인증 도입 필요"
제3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 단체사진
제3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 단체사진 /항공우주협회
한국형 첨단항공모빌리티(AAM)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정부의 행정·재정적 집중 지원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는 2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3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을 열고 각계 각층 전문가를 모아 우주항공정책 방향과 AAM, 선제적 대응 및 미래 발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에서 '첨단항공모빌리티 상용화의 성공 조건'을 주제로 발표한 허희영 한국항공대 총장은 "오는 2025년 AAM을 상용화 한다는 정부의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며 "최소한 3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용화 시기를 단축하기 위한 다각적인 종합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가 지목한 최근 우주항공산업의 세계적 화두는 우주 분야에서는 우주 경제(Space Economy), 항공 분야에서는 AAM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도 AAM의 상용화 시기를 얼마나 단축시키느냐에 항공 제조업과 교통 인프라 선진화가 달렸다"고 강조했다.

현재 AAM 상용화를 위한 최대 걸림돌은 인증 체계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독자 기준을 마련하되, 단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의 인증 체계를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정부가 추진 중인 실증사업의 일부 단계를 운항 증명으로 간주하는 등의 행정 지원도 제언됐다.

허 총장은 AAM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업자와 노선 선정 △교육 훈련과 인력 양성 △행정 및 재정적 지원 등 종합적 정책 지원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초기에는 군을 포함한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먼저 발주해 시장 수요를 창출하는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장도 우리나라 AAM 상용화의 시기에 대해서는 정부와 뜻을 달리했다. 그는 "운항증명에 대해서는 착수단계라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신 인증 체계와 관련해 "FAA(미국연방항공청)와 EASA(유럽항공안전청)의 접근이 좀 다르다"라며 "FAA는 파트23 소형계급에 대한 기준으로 수직이착륙에 대한 부분만 보완을 해서 인증하고 있고, EASA는 스페셜클래스 3개 이상의 수직이착륙계에 대한 기준을 파트23처럼 새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유럽의 기준을 종합 분석해 마련 중인 국내 인증체계를 이르면 10월경 시범 적용할 예정"이라며 "2025년 말 혹은 2026년 초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적 선도업체들의 AAM 시범 서비스에 뒤처지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우주항공 분야 중소·중견·대기업 대표 및 임원, 황창전 한국항공우주학회장, 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장, 김정환 경남테크노파크 원장, 유관기관 및 산·학·연 관계자, 언론사 논설위원 등 약 50명이 참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