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여의로]부동산PF발 연체율 비상에 구조조정 소문도는 저축은행업계

[여의로]부동산PF발 연체율 비상에 구조조정 소문도는 저축은행업계

기사승인 2024. 07. 03. 18:1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조은국 사진
최근 저축은행업계엔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다. 저축은행 중 몇 곳은 문을 닫거나 다른 곳에 인수될 수 있다는 얘기들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그만큼 저축은행이 처한 상황이 어렵다는 얘기다. '출구 없는 터널에 들어간 것 같다'는 푸념이 곳곳에서 나온다.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장 평가기준 세분화 조치로 저축은행들의 충당금 부담은 갈수록 커져, 올해 장사도 이미 끝난 상황이다. 79개 전체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5559억원의 손실을 냈다. 올해는 1분기에 벌써 1543억원의 손실을 기록했고, 앞으로 손실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을 옥죄는 대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분기 말 기준 8.80%와 10.32%로, 전년 말보다 각각 2.25%포인트와 2.59%포인트 올랐다. 일부 저축은행에선 20%나 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을 기록한 곳도 나왔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 신용등급도 우수수 떨어졌고, 투기등급 직전까지 추락한 저축은행마저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건전성이 나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저축은행들은 연체율 관리에 사활을 걸었다.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은 준수하고 있어서 연체율이 판단 기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업권 대표들은 매달 저축은행중앙회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데, 지난달 현안이 저축은행업권 구조조정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조정 대상에 들어가지 않기 위해선 연체율 관리가 생존전략이 된 셈이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들은 부실채권을 상·매각하고 있는데, 정상채권도 내다 팔고 있는 곳도 더러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체율 관리가 쉽지 않다. 부동산PF 등 기업대출은 물론 가계 신용대출 연체도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저축은행들이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대출자산을 늘리지 않으면서 채권 상·매각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채권은 저축은행들의 수익 기반이다. 연체율 관리를 위해 채권을 내다 팔게 되면 이익 기반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최근엔 신규 부동산PF를 취급하는 곳도 나오고 있다. 신규 대출이다보니 당장 연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저축은행 수익기반인 대출자산을 줄이는 동시에, 다시 리스크가 있는 부동산PF를 취급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는 상황이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졌던 트라우마가 있는 만큼, 건전성과 함께 수익기반도 다져갈 수 있는 묘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간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