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숨은 보험금 찾기’ 보험업계 vs 핀테크사, ‘마찰’

‘숨은 보험금 찾기’ 보험업계 vs 핀테크사, ‘마찰’

기사승인 2018. 11. 23. 16: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소비자의 숨은 보험금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놓고 최근 보험업계와 핀테크사가 갈등을 빚고 있다. 보험협회 측은 핀테크업체의 자사 앱에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스크래핑(데이터 추출 기술) 방식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익 목적의 서비스를 민간이 상업적으로 활용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반면 핀테크업체들은 애초 소비자편익을 기초로 한 서비스인 만큼 업계 간 대화로 문제를 풀어야한다고 호소한다.

23일 보험업계와 핀테크업계에 따르면 보험협회는 핀테크업체들이 자사 앱에 ‘내보험 찾아줌 서비스’를 스크래핑 방식이 아닌 ‘링크’를 넣어서 이용하라고 주문한 상태다. 정보를 그대로 가져가서 재가공하지 말고 링크를 걸어 협회 사이트로 유도하게끔 하라는 것이다. 스크래핑은 시스템이나 웹 사이트에 있는 데이터 가운데 필요한 것을 자동으로 뽑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협회 측은 공적으로 만든 사이트를 민간업체가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는 금융당국 지시로 생·손보 두 보험협회가 지난해 12월 구축한 시스템이다. 약 11개월간 500만명 이상이 이용했으며, 7조400억원에 달하는 숨은 보험금 중 2조원 이상(6월 말 기준)을 소비자에게 돌려줬다. 토스나 디레몬, 굿리치 등 핀테크업체들은 바로 이 서비스를 기초로 자사 앱이나 홈페이지 내에서 보험비교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서비스 이용 비용도 갈등 요소로 지목됐다. 해당 서비스는 본인의 이름, 주민번호 등을 입력하면 가입보험 내역, 숨은 보험금 등을 보여준다. 이때 휴대전화 등 본인 인증 시 건당 30원 내외의 비용이 발생한다. 이 비용은 협회가 부담한다. 현재 약 1억원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생보협회 관계자는 “비용 문제 이전에 공익적 목적으로 만든 서비스”라며 “보안에 취약한 스크래핑 방식 대신 협회 ‘내 보험 찾아줌’ 서비스 홈페이지에 링크하는 방식으로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진전이 없다. 계속 논의를 해나가면서 변화가 없으면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핀테크 업체들은 스크래핑 기술은 불법도 아니며, 이를 막는 것은 소비자 선택권 침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한 핀테크업체 관계자는 “스크래핑 기술로 본인 인증 시 발생하는 비용을 부담하겠다고 했지만 협회 측의 반응이 없고, 대화가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해놓고 이런 상황이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용정보원도 다음 달 3일부터 고객이 ‘내 보험 다보여’에서 보험을 조회할 때 본인을 인증하는 방식을 회원제로 변경하겠다고 발표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