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인도, 중국과 무역전쟁도 불사해야”, 미국 “인도, 동맹국 수준 군사기술 99% 접근”

“인도, 중국과 무역전쟁도 불사해야”, 미국 “인도, 동맹국 수준 군사기술 99% 접근”

기사승인 2016. 06. 27. 16: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 원자력공급국그룹 총회서 인도 가입 외교 총력전, 중국 반대로 무산 이후 인도 내 강경 목소리...미국, 인도 '감싸안기' 적극적...'미국·인도 대 중국' 대결 구도 선명
India Nuclear Ambitions
인도 힌두교 극우파 조직인 힌두 세나(Hindu Sena) 소속 회원들이 25일 인도 뉴델리에서 중국이 인도의 원자력 공급국 그룹(NSG) 가입을 무산시켰다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과 중국산 랩톱을 불태우면서 ‘중국산 제품 불매 운동’ 피켓을 들고 있다./사진=AP=연합뉴스
인도 내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재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주요 안보 파트너(Major Defence Parner)’라는 새로운 용어까지 동원, 인도를 동맹국 수준으로 대우하면서 인도 ‘감싸안기’에 적극적이다. 이에 따라 향후 태평양·인도양 지역에서 ‘미국·인도 대 중국’의 대결 양상이 더욱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주요 언론은 지난 24일 끝난 서울 원자력 공급국 그룹(NSG) 총회에서 인도의 가입이 중국의 방해로 무산된 사실을 계속 거론하면서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최대 일간지 타임스 오브 인디아(TOI)는 27일 사설 ‘거대한 중국의 장벽(Great China Wall)’에서 “중국이 인도의 NSG 가입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면서 자신의 패를 보였다”며 “베이징(北京)이 과거에 머물러 있으면서 인도의 부상을 단호하게 막으려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중국은 인도와의 협상(Business)에 별 관심이 없고, 남아시아에 관한 모든 것을 파키스탄에 걸고 있다”며 “이는 뉴델리 외교의 재조정을 요구하는 것이며 대(對)중국 전략을 재고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파워게임을 한다면 인도도 비슷한 방식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시진핑 모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우측 오른쪽에서 3번째)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좌측 왼쪽에서 3번째)가 23일 우즈베키스탄 타슈겐트에서 개최된 상하이(上海)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있다./사진=신화통신=연합뉴스
앞서 인도 외교부는 전날 중국을 지목하면서 “한 국가를 제외한 어떤 국가도 인도의 NSG 가입에 반대하지 않았다”고 했다. 비카스 스와루프(Vikas Swarup) 외교부 대변인은 “우리는 중국에 대해 양국 간 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이익·관심사·우선순위에 대한 상호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인도의 대중국 압박은 프라나브 무케르지(Pranab Mukherjee) 대통령이 지난달 말 베이징에서,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지난 23일 우즈베키스탄 타슈겐트에서 개최된 상하이(上海)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각각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인도 NSG 가입에 대해 ‘협조’를 요청했지만 결국 무산된 것에서 나온다.

TOI는 향후 인도의 대중국 전략에 대해 △기후변화·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무대에서 중국과의 협력 재고 △남중국해 분쟁에 대한 강경책 채택 △타이완(臺灣)과의 관계 강화 △중국과의 무역관계 재고 등을 주문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관계 재고가 가장 중요하다며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일어나도 인도가 잃는 것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인도의 최대 교역국으로 양국 간 2015년 교역량은 700억 달러에 이르고, 인도가 484억8000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한 네티즌도 “중국에는 충격 요법이 필요하다”며 “중국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고, 외교 레벨 접촉을 줄이면서 중국 제품의 밀수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오바마 모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오른쪽에서 2번째)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발 오피스에서 가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3번째)와의 정상회담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AFP=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는 인도가 동맹국 수준의 국가라며 인도 ‘감싸안기’에 나섰다. 미 행정부 고위관계자는 인도 PTI 통신에 대해 서울 총회에서 인도의 NSG 문제에 ‘진전이 있었다’며 “올 연말까지 인도가 NSG 회원국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NSG는 올 연말까지 핵확산금지조약(NPT) 미가입국’의 가입 기준을 다루는 회의를 갖기로 사실상 결정됐다. NSG 회의는 당초 내년에 예정돼 있었으나 모디 총리가 지난 8일 방문한 멕시코가 사실상 인도의 가입 문제를 다룰 연내 회의를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미국 정부는 아울러 인도를 ‘주요 안보 파트너’라면서 군사동맹국 이외에 미국의 최신 국방기술의 99%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라고 했다.

고위 관계자는 이같이 밝히고 ‘주요 안보 파트너’라는 인도의 지위는 “매우 특별한 것”이라고 한 뒤 “이 용어는 무기양도법이나 다른 현존하는 정책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며 “이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면서 새로운 언어로 양국이 안보 협력 부문에서 이룩한 고유의 성과를 반영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고 했다.

‘주요 안보 파트너’는 지난 7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모디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발 오피스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 포함된 용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