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관리 위한 전용 신용평가모델 개발 고도화
기업대출 확장 전략, IPO와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도
|
김민찬 케이뱅크 Corporate 그룹장은 "국내 기업 금융 시장이 여전히 대면 중심이라 비대면 금융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다"며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 대출 시장 규모가 총 1000조원에 이르는 만큼, 이를 비대면 금융으로 선제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날 공개한 '사장님 부동산 담보 후순위 대환대출' 상품은 개인사업자 전용으로, 사업자가 소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시세의 최대 85%, 최대 10억원까지 사업 운영 자금을 지원한다. 대출 기간은 최장 10년이며, 금리는 최저 연 2.93% 수준이다. 특히 타 은행에서 대출을 전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등 부대비용도 2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번 후순위 대환대출은 선순위 대환대출 출시 이후 약 6개월 뒤에 공개됐다. 김 그룹장은 "기술적 어려움보다는 사업자 대출 특성상 도소매업과 부동산 임대업 등 업종별 규제가 복잡했고, 서류 검증과 심사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병렬 처리 방식을 도입하면서 시간이 소요됐다"고 밝혔다.
기업대출 증가에 따른 연체율 상승 등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해 한명수 여신팀장은 "최근 개인사업자 전용 CSS를 별도로 개발해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비재무적 평가 모델까지 구축해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후순위 대환대출을 통해 대출 자산을 늘린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K뱅크측은 "기존 사업자 고객들이 대부분 선순위 담보대출을 보유하고 있어, 비대면 방식의 후순위 대환대출을 통해 사업자들의 금리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추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고 선을 그었다.
김 그룹장은 "올해 목표로 하는 기업대출 공급 규모가 2조원 이상이기 때문에 IPO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자본에 부담이 생길 수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연말 스트레스 완충점까지 포함한 내부 분석 결과, 올해 계획한 대출 규모에서는 BIS 자기자본비율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케이뱅크의 이번 기업대출 확장 전략이 IPO 추진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강화로 인해 개인금융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성장 동력을 기업금융으로 전환한 후 성공적으로 IPO를 마무리하는 동시에 시장 영향력 확대하는 전략이라는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