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정점 확인하다고 해서 독감처럼 관리할 수 있는 것 아냐"
|
김부겸 국무총리는 23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우리는 이미 오미크론에 능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잘 갖췄다”며 “위중증과 사망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도 큰 틀에서 개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해 4월 3일부터 이달 12일까지 확진자 123만7224명 중 변이 분석을 완료한 13만6046명을 대상으로 치명률을 분석한 결과 3차접종 완료자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08%로 파악됐다. 이는 계절 독감 치명률 0.05~0.1%와 유사한 수준이다.
반면 미접종자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5%로, 계절 독감의 5~7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접종을 마친 60세 이상 고위험군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5%지만, 미접종자의 치명률은 5.39%로 3차접종 완료자보다 10배 이상 높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TBS 라디오에서 “치명률이 상당히 떨어진 상황에서 종전처럼 확진자 자체를 최소화시키기보다 오미크론과 공존하는 체계로, 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는 체계로 전환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손 반장은 “앞으로 어떻게 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면서 유행을 겪어나갈 것인가가 중요하다”며 “안정적인 추이를 유지하려면 예방접종과 함께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한 보호체계를 강화하고, 중증·사망률을 최소화하는 데 방역·의료 자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부는 유행 상황이 안정적으로 관리될 경우 거리두기와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등 방역 규제 완화도 시사했다. 손 반장은 “방역패스나 사회적 거리두기의 조정 방안은 오미크론 유행이 상황과 정점 도달, 이후 감소세 전환 등의 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의 판단이 섣부르다고 지적한다. 시혜진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확진자 수가 어제오늘 다르고, 위중증 환자도 많이 늘고 있다”며 “유행 정점을 확인한다고 해서 계절 독감처럼 관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다른 변이가 생길 수도 있고, 충분한 양의 치료제와 백신도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11만2164명이 3차접종에 참여했다. 60세 이상 고령자는 87.9%가 3차접종에 참여했다. 전체 인구 대비 3차 접종률은 59.9%, 18세 이상 성인의 경우 69.4%다.
재택치료 환자 수는 전날(49만322명)보다 3만972명 늘어 52만1294명으로 집계됐다. 1주 전인 지난 16일(26만6040명)과 비교하면 2배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