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6일 1분기 인천공항의 여객 1860만명, 운항은 10만5817회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여객의 경우 2019년 동기 대비 3.9%, 2024년 대비 7.8% 증가했으며, 운항은 각각 6.3%, 5.7% 늘었다. 또 1분기 매출액 6432억원, 당기순이익 1662억원을 달성하며 안정적인 흑자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여객 실적을 살펴보면, 일본과 중국, 동남아 등의 중단거리 노선 여객 증가가 전체적인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 노선 여객이 지난해 11월 한시적 비자 면제 조치에 힘입어 전년동기(214만명) 대비 24.1% 증가한 266만명을 기록했으며 일본과 동북아 노선 여객도 각각 10.4%, 16.1%씩 성장했다.
공사는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올해 국제선 여객 예측치는 기존 7303만명에서 7664만명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운항 횟수는 일본과 중국, 동남아 노선 등 단거리 노선 비중(84.3%)이 미국, 유럽 등 장거리 노선보다 높게 나타났다. 2019년 단거리 노선 비중(82.1%)을 고려하면 고환율, 고유가 등의 국제 정세와 경제적 상황의 영향으로 단거리 여행 선호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무실적의 경우 2019년 동기(6585억원) 대비 소폭 하락한 6432억원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991억 원(56.8%), 1662억원(66.3%)을 기록했다. 매출은 착륙료, 계류장사용료 등이 포함된 항공수익은 7.7% 증가한 반면 임대료 등이 포함된 비항공수익은 7.9% 감소했다.
공사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낮게 나타난 것에 대해 위탁용역비와 감가상각비의 상승 등으로 영업비용이 보다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공사는 여객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 등을 고려해 5월 연휴(4.30∼5.6) 중 분야별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응 방안은 △보안검색대 조기 운영, 인력 확대 △임시주차장 탄력 운영△스마트패스, 셀프백드랍 이용 독려 △상업시설 운영 시간 연장 등 여객의 공항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학재 사장은 "인천공항이 안정적인 운영으로 접어듦에 따라 올해도 최대 여객을 경신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다가오는 5월 연휴에도 여객들이 불편함 없이 공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