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가 스마트폰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개발에 나서며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8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내년까지 내부납품용 독자 프로세서 개발을 추진 중이다.
샤오미는 화웨이, 레노버와 함께 중국의 3대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로 꼽힌다. 미(Mi) 노트 시리즈로 유명한 샤오미는 국내 시장에서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건강측정계, USB선풍기, 액션캠 등 소형가전 아이템으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온라인쇼핑사이트 G마켓 등에서는 샤오미 보조배터리와 건강측정계의 매출 증가율이 지난달 80∼300%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업계에서는 샤오미의 반도체 개발이 글로벌 시장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샤오미가 프로세서를 개발하더라도 설계 영역일 뿐 엄청난 시설투자가 수반돼야 하는 반도체 라인 공정과는 거리가 멀 것”이라며 “다품종 전략을 추진하는 샤오미의 특성상 자체 AP를 탑재한 스마트폰 출시는 가능할지 몰라도 반도체 시장에서 일정한 점유율을 확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