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검증 과정에서 불거진 안 후보자의 재산 증가는 청와대 자체 인사 검증 과정에서 충분히 짚어낼 수 부분이다. 재산 부분은 공직자 검증에서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를 놓친 것은 인사 검증 과정이 부실했거나 별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 법조인 출신인 김기춘 비서실장과 홍경식 민정수석이 법조인 전관예우에 따른 소득 증가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판단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박 대통령이 내놓은 국가개조의 첫 단추였던 ‘안대희 총리 카드’가 무산됨에 따라 향후 총리 후보자 재지명과 내각 후보자 지명 과정에서 청와대의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인사 문제로 국정운영에 난항을 겪은 바 있다.
정부 출범 첫 총리지명자였던 김용준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낙마했으며, 김종훈 전 미래창조과학부장관 내정자, 김병관 전 국방부 장관 내정자, 황철주 전 중소기업청장 내정자, 한만수 전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 등도 검증 과정에서 결국 사퇴했다.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는 안 후보자 사퇴에 대해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의 무능을 또 한 번 드러낸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인사 검증을 총괄하는 김 실장에 대한 비판이 집중되고 있다.
김 대표는 “대통령의 불통 통치가 바뀌려면 우선 비서실장부터 바꿔야 한다“면서 ”총리 후보에 대한 인사 검증의 책임 역시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김기춘 비서실장이 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기식 새정치연합 의원은 “관피아 척결을 맡을 총리 후보자로 전관예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안 후보자를 지명한 것 자체가 부적절한 인사였다”라며 “전관예우를 통한 거액의 사건 수임 등을 철저히 검증하지 못하고 이번 인사를 주도한 김 실장 이하 청와대 인사라인은 이 결과에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