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충남도 “지천댐 협의체 통해 반대 주민 의견 들을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1010005157

글자크기

닫기

내포 김관태 기자

승인 : 2025. 03. 11. 15:50

도, 잘못된 정보 인한 주민 피해 없도록 주민·전문가 참여 협의체 구성 계획
“충남도, 지천댐 협의체 통해 반대 주민 의견 들을 것”
충남도청사 전경/충남도
충남도가 지천댐 협의체를 구성한다. 당초 댐 협의체에 참여하려던 댐 추진기관인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참여를 배제시키되 반대대책위는 참여시킨다는 방안이다.

도는 지천댐 협의체 구성을 통해 찬·반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11일 밝혔다.

또 지천댐 반대대책위에서 협의체 참여 반대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 이달 12일, 청양군, 부여군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반대대책위가 댐 협의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18일까지 협의체 구성을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반대측에서 협의체 참여를 계속 거부할 경우 청양군과 부여군과 함께 반대측의 협의체 참여를 촉구하고 언제든지 협의체 참여를 원한다면 협의체 운영중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위원수가 부족할 경우 공정성 확보를 위해 모집 공고를 통해 공개 모집도 고려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날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반대대책위에서 주장하는 사항에 대해선 "지천댐 건설 시 취수구 설치 문제에 대해서는 환경부에서 공식 입장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규제가 없다"면서 "기본구상 용역을 통해 규제가 없는 취수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천댐을 건설하면 청양, 부여지역 홍수 발생 시 빗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커지며 댐을 통해 지체시켜 하류지역 피해를 줄일 수 있고 금강홍수통제소에서 선제적으로 우기를 고려해 저류량을 결정하므로 치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충남은 만성 물 부족 지역으로 2035년이면 하루 약 18만톤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청양군은 생활용수로 보령댐으로부터 약 60%, 대청댐으로부터 20%, 마을 상수도 20%를 공급하고 있어 향후 극한 가뭄 시 용수 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는 지역으로 꼽힌다.


김관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