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기물소각 설치를 둘러싼 충남 아산시와 천안시 주민들간 갈등이 해소됐다.
양 도시는 천안시 대체소각시설 설치에 따른 주민 보상에서 상생지원금과 주민협의체 구성비율, 기금배분율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으며,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중재에도 불구하고 접점을 찾이 못했었다.
이번 아산과 천안 간의 대체소각시설 상생협력 업무협약은 김태흠 지사의 적극적인 중재 역할에 따른 것으로 아산시 주민 입장에서는 당초 요구안이 100%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두 도시간 상생 차원에서 이를 수용해 이뤄졌다.
23일 아산시에 따르면 조일교 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22일 천안시 환경에너지사업소에서 김태흠 충남지사와 박상돈 천안시장과 함께 '천안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아산시를 비롯한 충남도와 천안시 등 3개 기관은 장기간 표류했던 대체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대체소각시설 설치 협력 △주민지원방안의 성실한 이행 △지역주민 의견 수렴 및 주민지원기금의 효율적 집행 △주변지역 대기환경 및 주민 정주여건 개선 등이다.
앞서 2021년 천안시는 기존 소각시설 1호기의 대체소각시설을 인근(백석공단)에 짓기로 결정하고 이전 증설 부지와 인접한 아산시와 협의를 진행해 왔다.
이에 충남도가 나서서 주민간담회와 설명회 등을 통해 중재안을 마련했고 지난해 12월 아산지역 마을주민들이 수용을 결정하면서 최종 합의가 이뤄졌다.
합의안은 △상생지원금 40억 원 △주민지원기금 확대 △주민지원협의체 운영 규정 개선 △기존 소각로 대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축 △대체소각시설 사용연한 도래 후 '폐쇄 후 신설' 또는 대보수 지양 권고 등을 담고 있다.
아산시는 앞으로 협약 이행 과정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대체소각시설이 주민 건강과 환경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은 책임 운영을 하도록 천안시와 충남도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조 권한대행은 협약식에서 "오늘 협약이 양 도시의 갈등을 해소하고 상생의 길을 열어가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면서 "주민의 우려를 덜고 조화로운 발전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