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석유 미래포럼] ‘석유와 수소의 공존’… 현실적 ‘탄소중립’ 그림 그렸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512010005443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4. 05. 12. 15:25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지난 10일 민·관·학계 모여 논의 진행
석유 수요 지속 전망에 대체로 공감
"경쟁력 유지하며 대체에너지 확보 필요"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가 1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 '국내 석유산업의 중요성 및 미래전략'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탄소중립이 과제로 떠오른 현재 에너지 전환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에너지원 석유를 당장 대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와 학계, 산업계에서는 현재의 석유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탈탄소화 노력을 동반해야한다는 데에 공감하고 있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바이오연료와 수소로, 민간이 주도하는 사업에 정부도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지난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제 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석유와 수소, 연료와 원료 공존의 길'에서는 에너지 업계와 정관계 인사, 학계 인사들이 모여 에너지 산업 전망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펼쳤다. 전문가들은 탄소 배출이 적은 대체 에너지를 찾아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석유를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공감하고 있다.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가 1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 '국내 석유산업의 중요성 및 미래전략'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첫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조홍종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석유는 20세기 중반 이후로 제 1에너지원으로 성장해 현재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원"이라며 "결국 탄소중립 가능 여부는 열, 수송 분야에서 무탄소 전기화에 달려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화석연료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비중은 줄고 있으나, 세계적인 탄소 배출은 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증가 속도는 늦고, 화석연료 의존도는 증가하고 있어 화석연료의 공급 감소 및 수요 감소 증거가 확실하지 않은 실정"이라고 바라봤다.

조 교수는 또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정제능력은 세계 5위, 석유 소비량이 세게 8위에 달하는 만큼 세계적 위상이 최상위 수준"이라며 "전방 자원확보와 후방 석유화학 및 제조업 등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산업인 만큼 현재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탄소중립 기술 투자를 늘리는 현재의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도 투자 여건을 마련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김태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실장이 1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 '친환경 석유대체연료 산업의 동향과 과제'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친환경 석유 대체연료 산업에 대해 발표한 김태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실장 또한 이러한 상황에 동의하며, 친환경 바이오연료의 도입 및 적용 확대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세계 석유수요는 상당기간 유지되거나 증가될 전망이기 때문에, 우리 산업의 우월 전략을 고수하며 유연한 전환을 해야한다"고 분석했다.
바이오연료는 석유제품과 화학적으로 유사하고, 기존 내연기관 등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연료를 의미한다. 김 실장은 그러면서 "도로 전력화에 더해 항공과 해운 등 수송 분야에서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연료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바이오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국내 생산 인프라 구축 및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실장은 2030년까지 수송·산업용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정부의 청사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석유사업법 개정안이 지난 1월 국회에서 통과되며 친
환경 연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됐다"며 "국내 석유 업계의 친환경 전화 투자가 본격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창종 고려대 연구위원이 10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 '탄소중립 시대, 수송분야 생태계 전환 방향'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이어 김창종 고려대학교 연구위원은 또 하나의 탄소중립 에너지로 여겨지는 수소에 대해서 발표했다. 김 위원은 "글로벌 환경문제에 공동대응하고, 탄소중립이 의무화되면서 수소경제의 당위성이 확보됐다"며 "국내에서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이어 이행 기본계획까지 나오면서 수소 활성화를 추진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수소 에너지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소 공급을 안정화하고 대량 공급 기술도 확보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수소산업은 생산부터 저장, 공급까지 가져가야 한다"며 석유산업의 인프라 활용을 제안했다.

그는 "석유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공급할 수 있다는 인프라, 기술, 운영 노하우일 것"이라며 "최근에는 액화수소 전환과 함께 이에 따른 공급망이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50년 탄소중립이 되기 전에 양 산업이 합쳐지면서 양적으로 풍부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