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민·관·학계 모여 논의 진행
석유 수요 지속 전망에 대체로 공감
"경쟁력 유지하며 대체에너지 확보 필요"
|
지난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제 2회 아시아투데이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 '석유와 수소, 연료와 원료 공존의 길'에서는 에너지 업계와 정관계 인사, 학계 인사들이 모여 에너지 산업 전망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펼쳤다. 전문가들은 탄소 배출이 적은 대체 에너지를 찾아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석유를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공감하고 있다.
|
그러면서 "화석연료를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비중은 줄고 있으나, 세계적인 탄소 배출은 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증가 속도는 늦고, 화석연료 의존도는 증가하고 있어 화석연료의 공급 감소 및 수요 감소 증거가 확실하지 않은 실정"이라고 바라봤다.
조 교수는 또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정제능력은 세계 5위, 석유 소비량이 세게 8위에 달하는 만큼 세계적 위상이 최상위 수준"이라며 "전방 자원확보와 후방 석유화학 및 제조업 등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산업인 만큼 현재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탄소중립 기술 투자를 늘리는 현재의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도 투자 여건을 마련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
바이오연료는 석유제품과 화학적으로 유사하고, 기존 내연기관 등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연료를 의미한다. 김 실장은 그러면서 "도로 전력화에 더해 항공과 해운 등 수송 분야에서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연료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바이오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국내 생산 인프라 구축 및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실장은 2030년까지 수송·산업용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정부의 청사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석유사업법 개정안이 지난 1월 국회에서 통과되며 친
환경 연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됐다"며 "국내 석유 업계의 친환경 전화 투자가 본격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다만 수소 에너지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소 공급을 안정화하고 대량 공급 기술도 확보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수소산업은 생산부터 저장, 공급까지 가져가야 한다"며 석유산업의 인프라 활용을 제안했다.
그는 "석유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공급할 수 있다는 인프라, 기술, 운영 노하우일 것"이라며 "최근에는 액화수소 전환과 함께 이에 따른 공급망이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50년 탄소중립이 되기 전에 양 산업이 합쳐지면서 양적으로 풍부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