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극지연구소 “오존홀 때문에 남극 빙하의 요오드 농도 감소”...최초 규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1109010005459

글자크기

닫기

박은영 기자

승인 : 2021. 11. 09. 12:00

noname01ㄹㅇㄹ
극지방 성층권 파괴(오존홀 발생) 모식도/제공=극지연구소
인천 송도에 위치한 극지연구소는 오존홀 때문에 남극 빙하의 요오드 농도가 감소했다고 9일 밝혔다.

극지연구소 김기태 박사 연구팀은 이탈리아와 스페인, 덴마크, 아르헨티나, 스위스, 호주, 미국 등 8개 나라 연구원들로 구성된 다국적 공동연구팀과 남극 돔C 지역에서 확보한 빙하 시료를 분석해 1970년대 이후 요오드 농도가 급감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분석한 빙하시료에는 1800년부터 2012년까지 약 212년간의 과거 기록이 남아 있었는데 1975년 이후의 요오드 농도는 그 이전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오존홀로 인해 유입량이 늘어난 자외선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빙하의 요오드가 자외선과 반응해 공기 중으로 배출됐다는 것인데, 남극 하늘에 오존홀이 나타나기 시작한 때와 시기적으로도 일치한다.
남극 내륙 빙하에 존재하는 요오드 농도가 바다얼음의 면적과 관련 있다는 해석은 이전에도 있었지만, 요오드 농도의 갑작스러운 변화 원인을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로 요오드 농도 기록을 활용해 과거 남극 오존홀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요오드 농도는 극지방에서 오존을 파괴하거나 구름 형성을 도와 기후변화 연구에도 활용도가 높다.

극지연구소는 2016년 남극세종과학기지와 국내 실험실에서 얼음 속 요오드가 자외선을 만났을 때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규명했으며, 이 결과가 이번 연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돔 C지역은 83만 년 전 과거 기후 복원이 가능할 정도로 빙하가 잘 보존된 곳으로, 극지연구소는 장보고과학기지로부터 1,600km 떨어진 이곳까지 육상루트를 확보하기 위해 탐사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연구성과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인 ‘Nature Communications’ 10월호에 게재됐다.
김기태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얼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화학반응을 통해 극지방의 과거와 현재, 미래 모습을 더 정확하게 읽어내겠다”고 밝혔다.
박은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