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에 AI 플랫폼 결합 기대
정비시기 안내·픽업 충전 등
현대차그룹은 지난 27일 네이버와 ‘미래 모빌리티 사업 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업은 콘텐츠, 서비스 사업 협력을 비롯해, 모빌리티 서비스 시너지 창출, 중소사업자 상생 모델 개발 등 3가지 주요 협업 영역을 선정하고 각 영역에서 관련 서비스 및 상품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고객에게 차량과 플랫폼을 연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나아가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자동차 기업과 정보통신(ICT)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네이버가 제공하는 검색·지도·쇼핑·웹툰·V 라이브·오디오 클립 등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커넥티드 카와 연계해 고객 경험을 혁신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현대·기아차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네이버 알림 서비스를 통해 차량의 정비 시기를 안내 받거나, 네이버에 접속해 전기차 픽업 충전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영조 현대차 전략기술본부장(사장)은 “자동차와 ICT의 결합을 통해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편의를 증진하고,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 전반에 걸쳐 고객 경험을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과 네이버는 향후 커넥티드 카 및 친환경차, 목적기반차량(PBV) 등을 활용해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등 미래 모빌리티 유망 분야에서 추가적인 공동사업 기회 발굴에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양사 플랫폼을 활용한 시너지로 모빌리티 생태계 리더십을 확보하고, 중소사업자에게 현대·기아차의 디지털키를 활용한 새로운 상생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등 사회적 가치까지 창출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기업들에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상호 교류하는 체계를 갖춘 바 있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최근들어 롯데렌탈, GS칼텍스, 텐센트 등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체결하며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모빌리티 솔루션의 상품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고객의 이용 편의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네이버가 전자상거래부터 다양한 플랫폼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현대차그룹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미래 모빌리티는 융합형 모델로써, 자동차만 있는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어떤 비지니스 모델을 만드냐가 중요하다”면서 “이를 완성차 제조사 혼자서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기 때문에 융합 차원에서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해 플랫폼을 조성하는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네이버가 플랫폼 개발에 다양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모빌리티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