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방사광가속기는 ‘나주가 최적지’… 시민 추진단, 성명서 발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416010009727

글자크기

닫기

이명남 기자

승인 : 2020. 04. 16. 12:10

과학기술발전 기반 호남권 균형발전, 한전공대 시너지 효과 기대
450만 광주, 전남, 전북 시·도민 ‘방사광가속기 나주 구축’염원 결집
나주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유치 시민 추진단은 나주시청 정문에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나주 구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제공=나주시
전남 나주시가 1조원 규모의 대형 국책사업인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부지 공모에 4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 가운데 나주시가 광주와 전남, 전북 호남권역 500만 시·도민의 결집된 힘을 바탕으로 방사광가속기 유치 총력전에 돌입했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유치 시민 추진단은 16일 나주시청 정문에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나주 구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과학기술발전에 기반한 호남권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특히 전국 최하위 수준의 호남권 국가 산업기술 R&D예산 분배, 충청·영남권에 기 구축된 방사광가속기 등에 대한 불균형 발전을 지적하고 한전공대와 시너지를 일으킬 방사광가속기 나주유치 당위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추진단은 “전남은 최근 5년 연속 산업기술 R&D예산이 전국 최저 수준(0.5%)으로 연구 환경이 매우 열악하고 향토기업 경쟁력은 불균형의 늪에 빠져 악순환으로 치닫고 있다”며 “모든 기초과학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첨단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는 과학·기술 분야 낙후와 가속기 부재로 연구개발 환경이 열악한 호남권에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자료에 따르면 전남지역 2014년부터 2018년까지 KIET의 산업기술 R&D예산 총 6조8668억원의 0.5% 수준인 375억원이 투자됐으며 5년 연속 산업기술 R&D지원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는 열악한 실정이다.

추진단은 호남권에서 미래 먹거리로 역점 추진 중인 산업기술적 인프라와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부각시켰다.

추진단은 “나주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와 안정적인 지반, 확장 가능한 넓은 부지, AI인프라, 한전공대를 비롯한 주변 대학의 풍부한 인적 자원은 물론 한전을 주축으로 한 공공기관과 에너지 연관기업이 집적돼있다”며 “방사광가속기 구축의 최적의 입지”라고 주장했다.

이어 “호남권 첨단 연구환경 조성 및 산업 활성화, 세계 신재생 에너지 글로벌 대학 및 과학기술 분야 국가균형 발전을 위한 방사광가속기의 나주 구축으로 호남과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12만 시민, 25만 출향향우의 염원을 담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추진단은 호남권 대학교 총장, 교수, 기업·기관 대표, 연구원 등 산·학·연 전문가와 정치인, 저명인사, 언론인, 향우, 사회단체를 포함한 시·도민 120명으로 구성됐다.

시는 추진단을 중심으로 오는 21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용산역, 광주 송정역에서 방사광가속기 나주 유치를 위한 전단지 배포, 온라인 지지성명 등 현장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강인규 나주시장은 “방사광가속기는 전국 최하위 수준인 호남권 연구개발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국가균형발전의 역사에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추진단을 비롯한 500만 광주, 전남, 전북 시·도민의 힘과 염원을 결집해 방사광 가속기를 반드시 나주에 유치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가겠다”고 말했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은 국비 8000억원 등 1조원대 사업비를 투입, 2027년까지 방사광가속기 및 부속시설을 설립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 극미세 가공, 극미세 물체의 분석을 가능케 하는 첨단연구 장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8일까지 방사광가속기 유치의향서를 접수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무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과기부는 다음 달 7일 우선협상지역을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명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