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금융권과의 규모 격차는 과제…보안·마케팅 필요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과 핀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오픈뱅킹 서비스가 본격 시행됐다. 오픈뱅킹은 시범서비스 때부터 많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터라 상호금융이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적용도 논의되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내년 중에 2금융권에도 오픈뱅킹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2금융권은 모바일 앱을 개편하는 등 오픈뱅킹 도입에 대비하고 있다. 신협은 내년 1월 새 모바일앱 출범을 예고했고, 새마을금고도 스마트뱅킹 앱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상호금융권은 이용객 연령대가 다소 높아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적었던 만큼 비대면 금융에도 크게 집중하지 않았다. 모바일 앱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도 이때문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중앙회가 나서서 66개 저축은행의 통합 앱 ‘SB톡톡플러스’를 출범하고 최근 앱을 리뉴얼하기도 했다.
오픈뱅킹을 통해 금융권 디지털화가 2금융권에도 빠르게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도 있다. 비대면화를 통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면 2금융에 대한 선입견이 사라지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2금융권에서는 내년 오픈뱅킹 도입이 이르다는 시각이 나온다. 보안이나 마케팅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제1금융권이나 핀테크기업보다 디지털·마케팅 예산이 현저히 적은 2금융권에서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1금융권과 마케팅이나 보안 관련 예산 규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오픈뱅킹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은 우려가 더 크다. 특히 전체 저축은행 중 12곳 말고는 금융결제원의 전산망이 아닌 저축은행 중앙회의 통합전산망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까지 오픈뱅킹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특별참가금을 내고 특별참가기관으로 등록해야 한다. 별도 비용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또 66개의 저축은행들은 자산 규모나 수익 차이가 큰 만큼 각사의 입장이 달라 업권 전체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선 의견 통합에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게다가 2금융권에선 오픈뱅킹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 소비자들이 2금융권을 주거래 은행으로 활용하기보다는 대출 등 특정 상품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오픈뱅킹을 통해 매일 조회하거나 송금하는 업무까지는 필요가 없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