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57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퇴사율 현황’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기업의 평균 퇴사율은 17.9%였다. 전년 대비 0.9%p 상승한 수치다.
퇴사율이 가장 높은 연차는 ‘1년 차 이하’가 4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어 2년 차(21.7%), 3년 차(14.6%), 5년 차(5.1%) 등으로 나타났다. 연차가 낮을수록 퇴사율이 높았다.
퇴사자가 가장 많은 업종은 제조/생산(20.9%)이었다. 이어 영업/영업관리(16.3%), 고객 서비스(12.6%), IT/정보통신(6.9%), 연구개발(6.3%) 순으로 나타났다.
퇴사 사유로는 이직이 41.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업무 불만(28.1%), 연봉 불만(26.2%), 잦은 야근 등 워라밸 불가(15.4%), 복리후생 부족(14.8%), 상사와의 갈등(14.6%) 등으로 조사됐다.
다만 직장인들이 인식하는 퇴사율은 전년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간 퇴사율 추이에 대해서는 57.9%는 비슷한 수준, 28.3%는 높아진 수준, 13.8%는 낮아진 수준이라고 각각 답했다.
퇴사율이 높아지는 원인에 대해서는 ‘연봉 등 처우가 좋지 않아서’가 4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과도한 업무량과 잦은 야근(27.8%), 회사의 비전이 불투명함(27.1%), 회사 실적과 재무상태 악화(18.8%), 장기근속 혜택 부재(17.4%) 등 순이었다. 높아지는 퇴사율로 인해 회사는 ‘직원 공백으로 인한 업무 차질’(78.5%, 복수응답) 등의 피해를 입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고 대답한 기업은 85.4%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워라밸 확보를 위한 정시퇴근 (38.4%, 복수응답), 근무환경 개선(37%), 복지혜택 확보(36.6%),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30.7%), 인력 충원으로 업무 강도 완화(27.2%), 장기근속자 포상(18.1%)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