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대에 따르면 정 교수 연구팀은 캘리포니아대학교·포항공과대학교 등과 국제공동연구팀을 구성, 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연안 식물플랑크톤 생산량 변동이 부영양화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부영양화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수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정 교수 연구팀은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증가 또는 감소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해냈다.
정 교수 연구팀은 국내 시화해역에서 8개월 동안 해수 시료를 채취한 후 실험실로 가져와 4개의 온도 조건과 2개의 영양염류 농도 조건 하에서 7일간 배양하면서 식물플랑크톤 양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온도만 상승시켰을 때는 별 다른 양상이 없었으나 온도와 영양염류 농도를 동시에 상승시켰을 때는 거의 모든 시기에 식물플랑크톤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해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온난화 영향이 부영양화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정 교수는 “장기 모니터링자료가 있는 미국캘리포니아, 영국,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의 연안에 ‘질산염’ 대 ‘엽록소’ 비율 1.5를 적용한 결과 우리 실험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면서 “앞으로 온난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양적변화를 예측하는데 획기적인 지표를 찾아냈다”고 말했다.
한편, 정 교수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해당 연구결과를 공개했으며 해양학 분야 국제저명학술지인 ‘해로운 조료(Harmful Algae)’ 2019년 1월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