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 금융기관들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의 지난해 말 총부채는 GDP 대비 256% 정도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아무리 규모가 늘었다고 해도 300%는 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중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블룸버그 통신조차 올해 말 예상치를 270% 전후로 잡고 있다. 하지만 국제금융협회(IIF) 트란 황 이사를 비롯한 다수 해외 금융 전문가들의 최근 주장을 고려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아무리 긍정적 시각으로 봐도 300% 돌파가 유력하다는 것이 정설이다. 주윈라이(朱雲來·61) 전 중국국제금융공사 회장이 지난 11월 말 비공개 포럼에서 중국의 총부채가 이미 600조 위안(元·10경원)에 이르렀다는 주장을 한 것을 보면 나름 신빙성이 있다고 해야 한다.
|
이런 상황인데도 지난 21일 막을 내린 당정 최고지도부의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인프라 확충을 통한 경기부양을 위해 지방정부들에 채권의 조기발행 허용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이 중국 지방정부 부채를 “거대한 채무 빙산을 향해 돌진하는 타이타닉호의 리스크”라고 경고한 것은 결코 괜한 게 아닌 것이다. 여기에 결코 만만치 않은 규모인 기업·가계 부채까지 더할 경우 일부 중국인들이 “중국은 경제 부국(富國)이 아니라 부국(負國)”이라는 자조적인 말을 하는 것도 납득이 가는 대목이다.
부채 급증은 엄청난 후유증을 초래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정부의 악성 재정적자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주요 산업의 공급 과잉, 빚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좀비 기업의 양산, 인플레이션, 부동산 거품 폭발 등의 부작용을 떠올릴 수 있다. 동시에 도산 도미노와 실업 포비아의 확산 역시 거스르기 어려운 대세가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한마디로 중국의 부채 문제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와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