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케이아시안리뷰의 3일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 개최된 51회 아세안 외무장관 회담에 참석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국가 외교 장관들과 인도·한국·호주 외교장관들은 2일 회담을 갖고 이같은 내용에 뜻을 모았다. 이들은 모두 RCEP 회원국이다.
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중국·일본·호주·뉴질랜드·인도 등 16개국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이다. RCEP은 전 세계 인구 절반가량을 포괄하고 국내총생산(GDP)의 1/3에 해당하는 경제권역을 아우르는 협상이다.
쵸틴 미얀마 국제협력 장관은 이날 “RCEP에 임박한 결론으로, 우리 아세안 국가들은 호주와의 무역을 강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국가들이 2일 발표한 공동 성명은 “RCEP협상의 신속한 결론과 현대적·포괄적·높은 질·상호 유익한 협정”을 촉구했다. 이 성명은 또 RCEP을 “세계 무역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시점”에 우선순위라고 설명했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보호무역주의가 커지고 있는 현재의 글로벌 상황에서 일본은 RCEP 협상을 신속하게 타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도 RCEP가 연내에 타결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말콤 쿡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소(ISEAS)-유소프 이샥 연구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 간 치열한 무역 전쟁의 전망은 대부분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관심사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무역 긴장은 RCEP을 향한 중국의 관심을 증대시켜, 협상 타결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양측의 관세 주고받기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일 2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중국도 지난 3일 미국산 제품 600억 달러어치에 5~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최대 은행 그룹 중 하나인 메이뱅크(Maybank)의 경제학자 추아 학 빈은 “아세안 국가들은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이차 피해를 느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과 중국은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베트남 등 6개국의 전체 수출에서 각각 11%와 13.6%를 차지하고 있다.
빈 경제학자는 지난달 25일 보고서를 발표해 “아시아 국가들은 공급망에 더 많이 연결되어 있고, 중간 제품을 중국에 수출하는 최종적인 가공 중심지로서 간접적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아세안 국가들이 중국을 대체할 무역지와 투자 목적지를 발굴해 부분적인 이익을 볼 수도 있으나 “우려를 덜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다만 RCEP 협상이 타결되기까진 많은 걸림돌이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닛케이는 특히 인도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시장 개방을 꺼리는 등의 문제 해결되지 않아 언제쯤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지 모른다며 “파트너들에게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득하는 연합의 능력이 합의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