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관리처분 인가가 나지 않은 309곳을 대상으로 전수점검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김준기 행정2부시장 주재 안전 관련 정례회의와 오전 9시 윤준병 서울시장 권한대행 주재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용산 상가건물 붕괴사고에 대한 수습·원인규명 지원과 정비구역 내 노후건축물 관리 대책을 논의했다.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지 10년 이상 지난 182곳을 자치구별 구청장 주관으로 조합·전문가가 우선 점검한 후 나머지 127곳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수합동조사를 실시한다. 대상에는 정비구역 인접지역의 위험 노후건축물도 포함된다.
전날 무너진 4층 상가건물은 1966년 지어져 2006년 4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10년 넘게 관리처분인가가 나지 않아 건물 철거가 이뤄지지 않았다.
김의승 시 대변인은 “전수조사에서 안전상 문제가 발견되면 각 조합과 상의해 즉각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이번과 같이 현행법상 안전 사각지대가 없는지 살펴 제도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