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건강·사회 문제 등 3가지 요인 중첩 시 자살 가능성 높아져"
|
#2 = 같은 날 인천 부펑구의 한 고층아파트 15층에서 A씨(33·여)가 투신해 숨졌다. 발견 당시 A씨의 옷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웠다’ ‘먼저 떠나서 미안하다’ 등 내용이 담긴 유서가 발견됐다.
100세 시대를 맞아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중·노년층이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6일 경찰 등에 따르면 2015년 인구 10만명 당 중·노년층 평균 자살률은 △40대 29.9명 △50대 34.3명 △60대 36.9명 △70세 이상 146.2명을 기록했다. 이들 연령대는 전체 평균 자살률 26.5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특히 70세 이상 자살률은 2014년 136.2명과 비교해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 가장 높은 자살률과 증가 폭을 보였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살 충동 요인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이 3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정불화 14.4%, 외로움 14.2%, 질환 13.5% 등이었다.
전문가들은 중·노년층의 자살 요인 중 경제·건강·사회적 문제 등 3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자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신광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중·노년층의 경우 경제·건강·사회 문제 등 3가지 요인이 중첩되면 자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 같은 요인 중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근본적”라며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질병의 치료가 어려워지며 가족 간 관계의 단절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에서 빈곤층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사회생활이 가능한 수준이 아닌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 뿐”이라고 덧붙였다.
신 교수는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사회집단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사회 집단이 있지만 극빈곤층에게 사실상 와 닿지 않는 복지정책으로 한국사회에 빈곤층이 계속 존재하고 있다”며 “복지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다양한 사회집단을 위해 맞춤형 복지와 세분화된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