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이버안보 취약한 동남아 대비 시작해…AI로 눈돌린 인도

사이버안보 취약한 동남아 대비 시작해…AI로 눈돌린 인도

기사승인 2017. 01. 23. 14:1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AP20150513170801003_P2
사이버안보에 대한 취약성이 두드러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이버 전쟁(Cyber warfare)에 국가 차원에서 대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도는 사이버 전쟁에 대비해 인공지능(AI)에 눈을 돌렸다.

AFP통신은 22일 “사이버 전쟁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인도가 AI를 눈여겨보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인도의 AI기술 스타트업 이네푸(Innefu)는 최근 인도 정부와 계약하고 AI로 인도 정보당국이 제공하는 자료를 검토해 패턴을 찾아 미래를 예측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네푸의 최신 AI ‘프러퍼시(Prophecy)’는 이미 소셜미디어 포스트 등의 자료를 분석해 인도의 국경지대에서 일어난 사건의 주동자와 그들간의 연결점을 찾는 일에 성공했다.

국경 지대에서 크고 작은 무력 분쟁에 시달리는 인도는 심심치 않게 사이버공격의 타깃이 되고 있다. 지난해 인도 해군의 의뢰로 잠수함을 제작하던 프랑스 군수기업 DCNS는 해킹으로 2만 여 페이지에 달하는 해당 잠수함의 전투능력이 담긴 문서가 유출되는 사건을 겪었다. 인도 국가안보수비대(NSG)의 웹사이트와 인도 제1야당 지도자 라훌 간디의 소셜미디어 계정이 해킹되는 일도 있었다.

타룬 윅 이네푸 창립자는 “사이버 전쟁은 현실에서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면서 “인도는 사이버 혁명에서 더이상 뒤쳐지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은 사이버 안보 취약 지대로 꼽힌다. 법·회계·HR정보분석기업 블룸버그 BNA는 최근 동남아 지역의 사이버 안보 취약성이 “세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라고 보안 분석가들을 인용해 전했다.

동남아는 세계 4위에 달하는 인터넷 사용인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률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안보에 대해서는 인식조차 미약하고 보안 관련 법률도 취약하다. 또 불법 해적 소프트웨어가 만연해 멀웨어(악성 소프트웨어)의 침투율도 높다.

이러한 동남아 국가들도 육해공 외에 사이버공간이라는 새로운 전쟁 지대가 등장했음을 깨닫고 대비에 나서는 중이다.

봇넷(botnet·해킹에 이용되는 감염된 PC집단)이 가장 활개치는 곳인 말레이시아는 지난 주에 3년 동안 공들인 사이버방어작전센터(CDOC)를 출범했다. CDOC를 산하에 둔 말레이 국방부는 ‘동남아 지역 내 최고의 사이버 방어 능력을 갖추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네팔 언론 더히말라얀타임스는 “컴퓨터만 가지고 손쉽게 국가간 전쟁을 벌일 수 있는 시대에 네팔은 사이버공격에 엄청나게 취약한 국가”라며 변화를 촉구했다. 매체에 따르면 네팔은 일상적으로 멀웨어공격에 시달리는 등 국가의 지원을 받은 해커들과 사이버 범죄조직의 공격 목표가 되고 있다. 네팔 정부와 군은 사이버 스파이 조직인 나이콘(Naikon)의 공격을 받은 바 있으며, 네팔 금융기관도 사이버 범죄조직 카바낙(Carbanak)의 공격에 금전적 피해를 봤다.

매체는 네팔 정부가 산하에 정보기술보안긴급대응팀(ITSERT-NP)을 두고 있지만 스타트업 해커들에게도 밀리는 실정이라면서 “국방 차원의 엘리트 사이버TF팀을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 뿐만 아니라 국가 전반적으로도 사이버안보에 관한 인식도 끌어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남아시아 국가간 공조를 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인도와 베트남은 지난해 사이버안보 분야에서 지식공유·사이버안보 사건 감지 및 방지 등 긴밀한 협력을 약속하는 사이버안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