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국민의 은퇴준비 현황과 인식, 은퇴 후 생활 등을 조사해 격년마다 발간하는 백서 ‘한국인의 은퇴준비 2016’을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25~74세 2271명을 대상으로 재무, 건강, 활동, 관계 등 4가지 영역을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인 은퇴준비지수는 56점으로 4가지 영역 모두 은퇴준비 수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관계 58점, 재무 57점, 건강 55점, 활동 50점 순으로 조사됐다.
먼저 재무 영역에서 은퇴 후 경제적 상황에 만족하는 이들은 전체의 33%에 불과했다.
은퇴자 중 은퇴 후 생활비 부족을 경험한 비율은 35%에 달했으며, 10가구 중 2가구가 평균 6500만원의 부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은퇴자들은 은퇴 후의 최소 생활비로 월평균 193만원이 필요하고, 경제적으로 부족함 없는 생활을 위해서는 월평균 288만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은퇴를 대비해 정기적으로 저축을 하는 비율은 49%에 불과했고, 가구당 저축액도 월 53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은퇴 가구의 12%가 3층연금(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중 어떤 연금에도 가입돼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건강 영역에서는 비은퇴자들은 예상 노후 의료비로 연간 300만원 미만을 예상했으나, 실제 65세 이상의 월평균 의료비는 36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간병 리스크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적극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5%도 채 미치지 못했다.
활동 영역에서는 퇴직 후에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대답한 비은퇴자 비율은 84%에 달했다.
은퇴자들 역시 은퇴 후 계속 일하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57%였다.
이유는 생활비 마련과 생계유지(42%), 삶의 의미와 보람을 느끼기 위해서(24%) 순으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관계 영역에서는 은퇴 후 가장 중요한 동반자인 부부 관계 확립을 위한 노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중 하루 1시간 이상의 대화를 갖는 비율이 20~30대는 33%인 반면 40대가 23%로 가장 낮았다. 여유시간이 많은 60~70대도 23%에 불과했다.
주 1회 이상 동반외출을 하는 비율도 20~30대는 44%였으나 60~70대는 13%로 차이를 보였다.
은퇴 후 생활에 대한 대화를 함께한 부부는 61%가 결혼생활이 행복하다고 답했으나, 그렇지 않은 부부는 45%에 그쳐 노후를 함께 준비할수록 결혼생활 만족도도 높았다.
윤원아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후 준비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실제 노후준비에 대한 실행은 매우 미흡하다”며 “특히 노후 준비는 단시간에 준비하기 어려운 만큼 경제 활동기부터 준비가 필요하며 은퇴 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건강·일과 여가·타인과의 관계 등 여러 사항을 염두에 두고 은퇴 전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