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금융감독원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중소 조선사를 대표하는 4사의 부채총액은 13조1771억원 규모다. STX조선해양의 부채총액은 7조2218억원, SPP조선은 1조6151억원, 성동조선해양은 3조5622억원, 대선조선은 7780억원으로 이들 모두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
수주잔량은 STX조선해양이 55척으로 약 3조원, SPP조선은 13척 약 6200억원, 성동조선해양은 50척에 2조9000억원, 대선조선은 18척으로 3600억원 규모다. 대부분 추가 수주가 없다면 1년에서 길어야 1년반치 일감만 남아 있는 셈이다.
이미 천문학적인 적자를 냈고 일감마저 말라버린 상황. 채권단이 이들의 청산을 고민하고 있는 이유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인도할 때 돈을 받는 헤비테일 방식의 수주가 대부분이라 경영상의 유동성 차질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인도가 늦어지고 손실이 불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일이 마무리 되는 시점은 1~2년 후지만 일부 공정에선 당장 올해 말부터 일거리가 없어지게 된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현재 매각이 불발된 SPP조선해양의 처리 방안을 고심 중이다. 이달말까지 성동조선해양과 대선조선의 스트레스테스트를 마치고 법정관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업계에선 모두를 살릴 순 없겠지만 청산보단 회생에 무게를 싣고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자리를 잃어버린 엔지니어들이 중국 등 경쟁국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관련 인프라를 모두 내어주면 중국과의 중소형급 선박 싸움에서 입지를 모두 내주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양금승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중소 조선사를 모두 청산한다는 건 그동안 한국 조선이 쌓아온 인프라나 노하우를 모두 버리겠다는 의미와 같다”며 “20만톤 이하 선박들을 만들어 내는 회사들을 다 정리한다면 추후 발생하는 국내 수요는 모두 중국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당장 재무상태를 떠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조선사 특화가 가능한 회사는 회생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형사는 30만톤급 이상의 선박을 만들고 있는데 중소형급은 3만톤에서 20만톤급 사이의 선박을 담당하고 있다”며 “무차별적인 구조조정이 아니라 중소 조선사가 맡고 있는 섹터를 살펴 중복되지 않게 정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