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최근 ‘지급결제 비전(Vision) 2020’을 발표하며 동전 없는 사회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이미 추진중인 유럽 국가들의 사회 모델을 연구하고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는 취지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이미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영국에서는 건강음식 체인인 토스드(Tossed)가 현금 없는 매장을 처음으로 열었고 미국 뉴욕에 위치한 타판지교도 다음달부터는 시간절약을 이유로 현금대신 전자패스만을 도입할 예정이다. 유럽내 유로존의 재무장관들도 지폐 페지에 나섰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최고액권인 500 유로가 테러리스트들과 범죄조직의 자금세탁, 그리고 마약 밀매등에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금이 없을 경우 사회의 범죄률이 감소한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뷰의 칼럼니스트 메간 매카들은 앞서 현금 없는 사회가 범죄를 줄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현금을 노리는 조직의 범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각국의 움직임은 자연스러운 현금 통용의 붕괴가 새로운 화폐 경제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현재 대세는 전자상거래로 이용되는 모바일 결제다. 미국을 넘어선 소비 사회의 강국으로 평가받는 중국의 경우, 2020년까지 약 10조 위안(약 1780조 원) 규모의 성장이 전망된다. 특히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는 알리바바의 독식구조는 전통적인 은행의 점유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이번 달 31일 종료되는 회계연도 실적에서 연간 총거래 규모 3조 위안(약 538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보다 23% 증가한 수치다.
영국중앙은행(BOE)은 비트코인 형태의 가상화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MIT테크놀로지리뷰는 앞서 10일 영국은행이 지난해 초부터 디지털 화폐 발행에 관한 리서치에 착수하며 ‘알에스코인’(RSCoin)이라는 가상화폐를 최근 개발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처럼 암호화된 화폐지만, 비트코인이 어떤 정부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성이 존재하는 반면 알에스코인은 중앙은행의 통제 하 에서 통화공급이 이루어진다. 즉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되는 것이다.
|
신흥국도 전자결제 바람이 일고있다. 요르단중앙은행(CBJ)은 지난해 전자결제 플랫폼을 도입, 국민들이 ATM 이나 키오스크, 컴퓨터 등으로 결제를 가능케했다. 요르단의 경우 인구의 70% 이상이 30세 이하이고 이 가운데 86%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등 젊은 인구와 인터넷의 성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금 없는 사회의 추세는 급속도로 가속화되며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지만 당장 눈앞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전쟁을 야기시킬 수 도 있다는 지적이다.
가디언은 이미 부의 분배가 불공평한 사회에서 현금 없는 사회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금은 소비자들에게 다른 시스템에 의존하지않고 스스로 물품을 매매하고 부를 축적시키는 수단이다. 현금은 개인적인 거래나 규모가 작은 거래에서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기업과 빈곤층에게는 필요한 경제수단으로, 현금확보를 위한 그들만의 치열한 전쟁이 될 수 있어 빈부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비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