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임마누엘-차이젠 인터뷰 “박근혜 외교, 한국 국제적 지위 높이는데 매우 큰 도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118010011009

글자크기

닫기

김유진 기자

승인 : 2016. 01. 19. 03:07

111111
(좌) 차이젠 교수. (우)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
차이젠(蔡建) 푸단(復旦)대 한국학연구센터 교수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변화된 국제 정세와 관련해 “한반도 내 중국-미국의 대립관계에 구조상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중국의 대북정책이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차이젠 교수는 17일 아시아투데이 상임고문인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은 국제사회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돌아올 수 있도록 북한에 더 많은 압력을 행사할 것”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간의 갈등은 더욱 첨예해지고 있고 격화될 것”이라면서 “중국의 한반도 균형 전략은 더욱 시행하기 어렵게 됐다. 중국은 북·중 및 한·중관계에 대해 더 구체적인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차이젠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시진핑 취임 후 한·중 관계가 급격히 상승한 반면, 북·중 관계는 크게 하락했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나의 개인적인 생각으론 중국의 한반도 균형적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 단지 일부의 조정이 있었던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많은 압력을 받은 상황에서 중국마저 큰 압력을 주게 된다면 북한 내부의 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중국의 이익과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북·중 간 여전히 공통의 전략적 수요가 있기 때문에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1순위로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한·미 동맹의 부단한 강화와 발전으로 보았을 때, 이는 한·중 관계 발전의 걸림돌”이라며 “따라서 현재로서는 한·중 관계가 얼마나 좋아질 지, 북·중 관계가 얼마나 나빠질 지에 대한 문제는 중국 국가의 이익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이젠 교수는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선 “현재로서는 북한이 핵 능력을 포기할 리가 없다”고 단정했다. 이어 “북한은 중국을 신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중국은 북한에게 안전을 보장해줄 수 없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중국·북한의 군사적 상호원조 조항은 북한이 외부 세력의 침략을 받았을 때만 사용될 수 있다며, 만약 북한이 주동적으로 전쟁을 도발할 경우 중국은 원조를 실행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차이젠 교수는 중국-대만, 한국-북한의 관계에 대해 “큰 차이점이 있다”면서 “한국과 북한은 두 개의 독립된 국가이고, 이는 유엔과 국제사회에서 모두 인정한 바다. 그러나 대만은 하나의 (독립된) 국가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반도의 통일은 두 나라의 통일이다. 그러나 대만 문제는 줄곧 중국 내부의 문제”라고 선을 그은 뒤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외부의 간섭은 없어야 한다”고 명확히 했다.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은 역사상 한반도의 통일을 반대하지 않는다. 중국의 입장은 한반도 통일이 반드시 ‘자주적’이며 ‘평화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최근 한 가지를 더 붙이기도 하는데 이는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의 통일이 외부의 간섭 없이 완전히 자주적인 남북 양방의 판단 아래 행해져야 하며, 이는 미군의 한반도 철수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급격한 통일은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무력 등 급격한 정세적 변화 없이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외교 능력과 관련해선 “박 대통령의 빈번한 국제활동 참가와 선진국들과 긴밀한 접촉은 한국의 국제적 지위를 한발 높이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된다”고 높게 평가했다.

차이젠 교수는 “최근 한국의 국제 사회에서의 활동은 활발하다. 한·미관계, 한·일관계, 한·중관계 등 처리 방식이 교묘하다”며 “한국의 외교는 비교적 성공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역사상 비록 일본의 식민지였고, 민간에서 강렬한 반일 경향이 있지만, 현재 한·일 모두가 미국의 동맹국”이라며 “안보문제상 모두 미국의 보호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이익상의 일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미·일은 공동의 가치 동맹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이젠 교수는 쑤저우 대학교와 난징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한 뒤, 푸단대학교 국제정치학과에서 박사를 수료했다. 현재 중국 푸단대 한국학연구센터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한반도 전문가로 유력 외신들을 통해 국제정치와 관련된 제언을 하고 있다.
김유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