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발달장애인 돕는 서울시 ‘맞춤복지’의 진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1222010015235

글자크기

닫기

이승진 기자

승인 : 2015. 12. 23. 06:00

자립돕고--가족 부담 덜고--교육융합 지원까지
서울시의 해마다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복지지원 정책을 발굴 눈길을 모으고 있다.

22일 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시에 등록된 장애인 39만8908명 가운데 ‘지적·자폐성 장애’로 통용되는 발달장애인은 총 2만8808명으로 2008년도의 2만4036명보다 4772명이 늘어나는 등 한해 평균 3.3% 증가률을 기록했다.

특히 발달장애인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1만9628명으로 전체 발달장애인 가운데 68%를 차지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

시는 우선 올 9월 발달장애인 당사자·학부모·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발달장애인 정책개발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맞춤형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등을 논의했다.

또 지난 2월 성인 발달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행복플러스 발달장애인 센터’를 조성, 각자의 특성에 맞는 업종을 개발해 연결시켜주고 있다.

이를 통해 땅콩과 나물 생산 및 바리스타를 양성, 6개월 간 3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발달장애인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휴식지원서비스(단기보호 3일)와 휴가비용(1회 15만원) 지원으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가족들이 발달장애인을 돌보기 위한 경제적 비용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을 뿐아니라 스트레스 해소와 개인시간 확보는 물론,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을 긍정적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시는 집중 지원이 필요한 최중증 발달 장애인 중심의 평생교육센터를 운영해 학생 3명당 지도교사 1명을 지원해 복지와 교육이 융화된 맞춤형 지원을 할 방침이다.

한편 ‘발달장애’는 아동기에 발생하는 장애로 인지력·의사소통·자기통제 능력의 부족으로 일상생활 및 사회적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박인용 서울장애인부모회 대표는 “시가 타 시도의 솔선수범이 돼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 같아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아직까지도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가족들을 위한 지원은 부족하다”며 “이들을 위한 법적 조례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홍순길 시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그간 공무원 중심의 계획수립·실행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당사자 위주의 정책 모델을 개발·지원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승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