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무보는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중인 아프리카 심해석유시추설비(드릴십) 2척의 발주사에 6억2000만달러의 중장기수출보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무보의 보험제공으로 발주사의 자금조달이 용이해지면 조선소도 대금에 대한 걱정을 덜게 된다. 자금조달에 애를 먹은 발주사들이 선박·해양플랜트 인도를 미루거나 계약을 취소하면 조선소는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다. 규모가 큰 해양플랜트 계약의 경우 대부분의 대금결재가 인도 시기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김영학 무보 사장은 “이번 무역보험지원으로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대우조선에 인도대금의 유입으로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경영정상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국내 조선사, 조선산업, 나아가 우리 수출의 부활의 신호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보측은 내년 중 대우조선이 추진할 신규 프로젝트에 2억달러 규모의 추가 금융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 지난달 19일에는 성동조선해양 지원 거부의사를 철회하고 채권단에 복귀해 선수금환급보증(RG)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산업부, 기재부 등 정부기관 및 성동조선의 최대주주인 수은과 함께 매 수주시마다 채산성을 면밀히 검토하기로 하는 가이드라인도 마련했다. 수은은 이미 지난 5월에 총 3000억원의 운영자금을 성동조선에 지원했다.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채산성을 들어 조선소 지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조선산업의 막대한 고용창출효과와 지역경제기여도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빅3는 물론이고 중소조선소조차도 수만명 규모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가족 및 철강, 정유 등 전후방 산업까지 고려하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한 조선소에만 3~5만명의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조선소 하나가 무너지면 전후방 산업과 지역경제까지 무너진다”며 “정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가운데 정책금융기관들이 전면에 나서 경영정상화를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