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현대차리부트⑩] 현대차 파업으로 매년 1조원 손실 되풀이…“쌍방향 정보공유가 해답”

[현대차리부트⑩] 현대차 파업으로 매년 1조원 손실 되풀이…“쌍방향 정보공유가 해답”

기사승인 2015. 08. 2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현대차-파업-이후-손실-규모-추이
국내 산업분야 중에서 자동차 업계가 노사 갈등이 가장 심하다. 매년 반복되는 자동차업계의 파업은 업체의 부담 증가는 물론 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돼왔다.

현대차도 매년 ‘노사 갈등’으로 1조원 가까이 손실을 보고 있다. 현대차의 국내생산 비중이 약 38%에 달하는 만큼 국내공장 가동률 하락은 해외판매 실적 부진으로 직결된다. 일각에서는 “현대차가 위기에 빠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서로의 주장만을 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정확한 정보 공유를 통해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명확한 해답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해외 시장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직시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경쟁업체의 사례를 통해 현실 직시를 해야한다고 주문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노조 파업으로 지난해 91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봤다. 당시 현대차는 생산라인의 가동중지로 4만2200대가 넘는 차량을 생산하지 못했다. 2013년에는 1조225억원(5만191대) 규모의 손해를, 2012년 1조7048억원(8만2088대)의 피해를 입었다. 현대차가 노조파업으로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입은 손해는 15조3100억원에 달한다.

올해도 현대차 노사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고,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피해액이 1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노사 갈등을 풀기 위해 우선적으로 정확한 정보가 공유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노사 간의 뿌리 깊은 갈등을 해결하려면 무엇보다 해외 정보에 대한 공유가 우선돼야 한다”면서 “노조는 흔히 독일의 임금이 우리나라 임금보다 높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50% 소득세가 고려되지 않은 단순 시간당 임금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 대상이 아니다. 근로자들이 실제로 가져가는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타업체들의 사례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현재 상황을 인식하고 양보와 배려를 바탕으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는 “미국 GM은 공장을 지을 때 여러가지 기회비용을 따져보고 정하는데 우리나라 공장 철수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노조와의 갈등”이라며 “서로간의 주장만 내세우게 되면 2~3년 내에 국내 자동차업계의 위기는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미 고용률 악화를 경험하고 있는 만큼 현대차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