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처참했던 북한 목함지뢰 폭발현장…하지만 ‘전우애’ 빛났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810010005016

글자크기

닫기

최태범 기자

승인 : 2015. 08. 10. 17:59

수색분대장 폭발후 뛰어들어 "내가 경계할테니 후송하라"
열감시장비(TOD) 영상에 또렷이 찍혀
부상당한 동료 옮기는 수색대원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에서 우리 군 수색대원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지뢰폭발사고는 군사분계선(MDL)을 몰래 넘어온 북한군이 파묻은 목함지뢰가 터진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합동참모본부가 10일 공개한 영상에 지뢰가 폭발한 뒤 수색대원이 부상당한 동료를 옮기고 있는 모습. /사진=합참 제공
군이 10일 언론에 공개한 비무장지대(DMZ)에서의 지난 4일 북한 목함지뢰 폭발 사고 영상은 한마디로 처참했다. 하지만 우리 군 수색대대 장병들은 긴박한 상황 속에서도 전우애를 발휘해 침착하게 부상자 후송작전을 펼쳤다.

이날 공개된 영상은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됐으며 1사단 수색대원 김모(23) 하사의 발목 절단으로 이어진 2차 지뢰폭발 장면이 담겼다. 김 하사는 불과 5분 전 DMZ 추진철책 통문 밖에서 1차 지뢰폭발로 두 다리를 크게 다친 하모(21) 하사를 후송하다가 변을 당했다.

당시 TOD로 DMZ를 감시하던 병사는 1차 지뢰폭발음을 듣고 급히 TOD 방향을 사고 현장으로 돌려 2차 폭발을 촬영할 수 있었다. TOD 영상 속 수색대원들은 전우 2명이 잇달아 쓰러진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후송작전을 펼치는 모습을 보였다.

군에 따르면 부사관 2명이 북한이 매설한 목함지뢰를 밟아 폭발한 순간 직후부터 수색분대장 정교성 중사와 수색대대 박선일 주임원사가 사고 현장을 지휘했다. 당시 현장에는 8명이 있었다.

지난 4일 오전 7시35분, 추진철책 통문을 열고 두 번째로 진입한 하모 하사가 목함지뢰를 밟아 사고가 나자 정 중사가 주저없이 통문 북쪽으로 뛰어들었다.

1사단 수색대대에 7년째 근무한 정 중사는 그간 410여회 수색작전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다. 그는 폭발 충격으로 상체가 추진철책 철조망에 걸린 하 하사를 지혈하면서 “내가 경계할 테니 빨리 후송하라”며 전우들을 다그쳤다.

정 중사는 올해부터 전방 GOP(일반전초) 사단에 보급된 응급처치키트를 열어 지혈했다. 이 키트에는 지혈대, 거즈, 압박대, 처치용 장갑 등이 들어있다.

통문 남쪽에 있던 의무병 박준호 상병이 오른발은 통문 북쪽에, 왼발은 통문 남쪽에 두고 서서 응급 지혈을 마치고 정 중사가 부축해 나오는 하 하사를 맞았다.

이때 통문 남쪽에 있던 박 원사가 통문으로 이동했고 3명이 힘을 모아 하 하사를 통문 남쪽으로 끌어냈다. 박 원사는 1사단 수색대대에서 병 생활부터 25년째 근무한 박 원사는 DMZ 작전에 700여회 이상 참여했다.

박 원사와 의무병이 좌·우측에서 하 하사 상체를 부축하고 뒤쪽에서 하체를 손으로 받쳐 나오던 김모 하사가 또 지뢰를 밟았다. 폭발 충격으로 3명 모두 쓰러지면서 잠시 정신을 잃었다.

이어 적으로부터 공격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한 장병은 모두 포복 자세를 취했다. 다치지 않은 장병은 포복자세로 통문 남쪽 경사진 둔덕으로 이동해 휴대한 총기를 북쪽으로 겨냥했다. 이 과정에서 쓰러진 김 하사를 장병들이 낮은 자세로 끌고 나오는 장면이 TOD에 찍혔다.

소대장 문시준 소위가 인근 GP로 달려가 지원을 요청했고 GP 병력 6명이 들것을 들고 도착했다. 이어 1분 후 4명이 추가로 들것을 가지고 도착해 후송 작전이 시작됐다. 1차 폭발 15분 만인 오전 7시50분에 환자를 들 것에 싣고 응급헬기장으로 향했다.

걸어서 20분 거리의 GP까지 들 것으로 후송하고 GP에서 GOP 통문까지 작전차량으로 이송했다. 부상자들을 GOP 통문 입구에 미리 도착해 대기한 구급차에 태워 후방 지휘소 헬기장으로 이송했고 의무후송헬기(수리온)에 탑승시켰다.

2명의 부상자는 사고발생 1시간 25분 만에 국군수도병원에 도착했다. 나머지 병력은 전투 대형을 갖추고 후방을 경계하며 오전 8시에 현장에서 철수하고 상황은 종료됐다.

이번 사고를 조사한 안영호 국방부 전비태세검열단 부단장(육군 준장)은 “단 한 명의 수색대원도 숨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전우의 구출과 전투 대형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고 평가했다.

수색대원들이 전열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후송작전을 수행했기 때문에 김 하사와 하 하사는 15분 만에 들것에 실려 GP로 후송됐으며 사고가 발생한지 1시간 28분 만에 군 병원으로 옮겨질 수 있었다.

김 하사의 수술을 맡은 국군수도병원 군의관 나기태 대위는 “적절한 현장 응급처치로 과다출혈 등을 방지하고 의무후송헬기를 이용한 신속한 환자 후송으로 자칫 환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최태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