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단연 결정적인 것은 역시 중국 당국의 강력한 의지였던 것 같다. 사실 사고 이후 72시간이 지났을 때 전체적인 상황은 절망적이었다. 더 이상 생존자가 나오기 어려웠다. 중국 당국은 이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더 이상 미적거려봐야 좋을 것이 없다고 봤다는 얘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유가족들의 입에서 “아직 생존자가 있을지 모른다. 너무 잔인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신속하게 행동으로 옮겼다.
또 중국 당국은 한국의 세월호 사고에서 학습 효과도 거뒀다고 봐도 틀리지 않을 듯하다. 공연히 좌고우면하다가 더 깊은 수렁으로 빨려들어간다고 봤지 않았나 보인다. 이에 대해 마샹우(馬相武) 런민(人民)대학 교수는 “사태를 질질 끌다가는 상황이 더 복잡해질 수 있었다. 그러면 세계적인 관심거리가 된다. 중국으로서는 가능한 한 피하고 싶은 시나리오라고 해야 한다.”면서 중국 당국이 분명 한국의 세월호 사고를 학습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외에 확실한 컨트롤 타워의 존재와 사회주의의 특징인 일사분란함도 나름의 이유로 작동했다고 해야 한다. 또 세월호 사고와는 달리 전국적인 관심이 대상이 되지 않았다는 사실 역시 이유로 꼽을 수 있지 않나 보인다.
물론 중국 당국의 신속한 사고 처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사고 수습에만 골몰한 나머지 혹 살릴 수 있을지 모르는 생존자를 희생시켰다는 비난이 대표적으로 꼽힐 수 있다. 특히 유가족들은 이런 입장을 계속 견지하고 있다. 또 유가족들을 현장에 접근조차 시키지 않았다거나 언론에 대한 통제를 그 어느 때보다 심하게 했다는 사실 등 역시 비난의 소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앞으로도 이 문제는 두고두고 시빗거리가 되지 않을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