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여성 경력단절 예방은 대학에서부터 출발해야

[칼럼] 여성 경력단절 예방은 대학에서부터 출발해야

기사승인 2015. 06. 0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장희정 교수
장희정 신라대학교 국제관광학과 교수
최근 언론을 통해 국세청이 발표한 여성근로자 현황을 접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세금 내역을 분석해 여성의 경제활동 현황을 발표했는데 2013년 여성근로자 수가 640만 명을 넘어 전체 근로자 가운데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여성인 것이다. 또한 1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는 여성의 수도 크게 늘어 4만 명을 넘어 섰다고 한다.

수치만 놓고 보면 여성과 남성이 이제는 경제적으로 많이 대등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임금을 들여다보면 이러한 수치가 허탈해진다.

여성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2,100만 원으로 남성의 평균 연봉 3,700만 원의 57.5%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다.

왜 이런 임금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겠으나 필자는 남녀 간 일자리 질의 차이와 여성 경제활동의 치명적 약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경력단절을 주요 원인으로 꼽겠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혼 여성 2명 중 1명은 출산과 육아로 직장을 그만두고 있다. 그리고 일단 경력이 단절되고 나면 다시 취업을 해도 저임금 비정규직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임신과 출산, 육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의 수는 2014년 4월 기준으로 214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도 대비 약 2만 명 이상 증가했다고 하니 심각한 상황이다.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최대 15조 원에 이른다는 조사 내용도 언론에서 보도된 바 있다.

그리고 여기에 지금까지 여성인적 자원을 길러내는데 투자한 교육비용을 더하면 더 심각한 손실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성들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시스템 변화, 제도개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역량을 키우는 것도 필요하다.

즉, 한 여성이 사회에 진출하면 경력이 단절될 수밖에 없는 많은 장벽들을 직면하게 되는데, 이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사전 교육과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고등학교나 대학이 전문지식을 가르치고 취업을 위한 노하우를 알려주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부분일 수 있다.

여성들이 사회에 진출하기 전, 특히 직업관을 수립할 시기에는 남성과는 다른 차원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직업젠더 의식강화 훈련 프로그램, 여성이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관 일깨우기, 젠더의식 강화를 통한 직업과 직장에서의 조직문화적응 지원, 남녀파트너쉽 훈련, 일과 가정양립을 위한 지속적 경력관리, 출산 및 육아휴직 이후의 재진입이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커리어 브릿지 시스템 구축, 경력단절 이후의 이직과 전직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 차원 혹은 학내의 취업관련 부서에서 담당할 수 없는 부분이다.

매우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기에 일선 학교차원에서 다루기에는 역부족이다.

전 세계 유례가 드문 저출산 고령화를 마주하는 우리나라 경제의 마지막 희망동력은 여성인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국가적 과제로 바라봐야 한다.

물론 일부대학에는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가 설치되어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되고 있으나 이마저도 여학생들의 취업지원 부서로 일축되어 중복성, 특혜성 시비에 휘말리거나 투입예산 대비 취업률 저하 운운하며 그 원래의 취지가 흐려지고 있다.

이미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대상으로 수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데 이는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고 판단된다.

어떤 일이든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궁극적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여대생커리어지원 관련 사업에 대해서는 이러한 점들이 간과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여성경력단절로 인한 15조의 사회적 손실을 감안하면 여대생커리어지원 관련 사업은 지금보다 수십 배는 더 키워져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자꾸만 일반적 취업과 연계시켜 효율성의 논리를 왜곡하다보면 중요한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는 점도 인식해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