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에 놀라…성동조선마저 부실기업 규정?
|
무역보험공사가 처음 반대의사를 드러냈고, 최근 우리은행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며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역보험공사와 우리은행이 끝까지 반대의사를 표명할 경우 사실상 성동조선해양에 대한 자금지원은 불가능해집니다. 채권단이 성동조선해양에 자금지원을 승인하기 위해서는 채권단 75%의 동의가 필요한데, 무역보험공사(20.39%)와 우리은행(17.01%)이 반대할 경우 다른 모든 채권은행이 찬성을 해도 75%에 미달하기 때문이죠.
이상한 점은 뒤늦게 반대를 표명한 우리은행입니다. 당초 우리은행은 성동조선해양의 잔존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기 때문에 추가 자금지원에 찬성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실제 2~3주 전 우리은행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무역보험공사도 결국 추가 자금지원에 찬성할 것”이라며 추가 자금지원을 낙관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몇 주가 지나고 상황이 변했습니다. 경남기업 사태가 이슈화되면서 금융권에 자금지원을 꺼리는 분위기가 조성됐기 때문이죠. 불과 2~3주 만에 우리은행도 성동조선해양을 ‘부실기업’으로 규정하고 추가 자금지원을 거부하는 상황에 이르게 됐습니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 격이죠.
그러나 청산가치보다 잔존가치가 훨씬 크다던 기업이 불과 2~3주만에 ‘부실기업’로 전락한 데에는 납득할 만한 이유가 필요합니다. 심지어 그 기업의 명운에 수만명의 생계가 달렸다면 더 신중해야겠죠.
성동조선해양에는 직영·사내협력사 8000~1만명, 사외 협력사까지 합치면 약 3만~4만명 규모의 직원들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철강을 비롯해 수많은 전후방 산업들도 얽혀있으니 이를 고려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관계돼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조선소가 유발하는 경제·고용효과 때문에 중국과 일본은 오히려 정부가 나서 금융 등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 조선소들은 자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글로벌 조선 업계에서 점차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실제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수주잔량을 기준으로 글로벌 톱10 안에 중국에서만 4개 조선소가 이름을 올려놓고 있습니다. 순위가 랭크되는 33위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중국 조선소가 15개, 일본 조선소도 7개나 됩니다. 현재 성동조선의 수주잔량은 77척, 2029CGT(수정환산톤수). 글로벌 순위로는 9위입니다.
공휴일인 5일 현재, 대부분의 성동조선해양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현장에 나와 이 조선소가 부실기업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땀 흘리고 있다고 합니다. 채권단도 놀란 가슴 진정시키고 정말 성동조선해양이 부실기업이 맞는지 한 번 더 살펴보는 신중함이 필요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