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국경제硏, “없던 기술금융 경쟁력, 강요로 생기지 않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0928010014935

글자크기

닫기

정해용 기자

승인 : 2014. 09. 28. 17:17

정부 강요하는 기술금융 정책, 정면비판
금융당국
한국경제연구원이 정부의 획일적인 기술금융정책을 정면 비판했다. 없던 경쟁력이 강요한다고 생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태규 한경연 미래전략연구실장은 최근 기고한 ‘강요로 생기지 않는 금융경쟁력’이란 기고문에서 정부의 기술금융 정책을 조목조목 꼬집었다.

이 실장은 “최근 정부는 창조금융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리스크가 적은 담보대출이나 소매금융에 안주하는 은행영업 행태와 모험기피적인 보수적 금융문화를 혁신해 기술에 기반을 둔 혁신적 중소기업으로 자금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정부와 은행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은행들이 받는 압력은 상당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권 차원에서는 이제야 (기술금융을) 시작하는 단계인데, 정부는 3년 내 기술금융을 완전히 정착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며 “자칫하면 목표달성을 위한 실적 내기에 급급해 금융건전성을 훼손할 수도 있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또 “기술금융의 확산은 필요한 일”이라면서도 “정부의 의지에 따라 없던 경쟁력이 당장 생길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은행의 역량이(또는 인센티브가) 정부의 정책방향에 부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 정부 집권 기간 동안 면피만 하자는 행태를 보일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드라이브에 휩쓸리다 보면 각 은행마다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모든 은행이 기술금융 부문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는 없으며 그럴 필요도 있는지 의문”이라며 “소매금융에 강한 은행, 기업금융에 강한 은행, 프로젝트파이낸스에 강한 은행 등 각 은행마다 경쟁력을 가진 자신만의 영역을 키워나가는 것이 현재 우리 은행들의 실정에 맞는 전략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정책의지에 따라 특정부문으로 경제 전체의 자금이 집중될 경우 금융리스크는 오히려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7월부터 기술보증기금 보증부 대출과 정책금융공사 온렌딩 대출 사용시 기술신용정보 활용을 의무화했다.

또 3분기 은행 경영실태평가 항목에 기술신용평가 활용 정도를 반영토록 하는 등 기술금융 활성화를 중점적으로 은행들에 요구하고 있다.

일부 은행에서는 임직원들의 인사고과를 결정하는 핵심성과지표(KPI)에 기술금융 실적을 반영하고 있는 등, 박근혜정부의 정책금융 화두인 ‘기술금융’에 정부와 은행권이 모두 진력하는 모습이다.






정해용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