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21일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를 통해,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2015년 13조4000억원에서 2030년에는 26조700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융합보안 사고는 제조·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말하며 융합보안이란 정보통신(IT) 융합 산업에서의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을 방지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나라 산업의 핵심인 제조업에서 보안 사고가 날 경우 생산 차질은 물론 국가신인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산업별 피해 규모는 자동차가 연간 약 24조원, 스마트폰이 1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또 통신·교통·전력망 등 국가기간시설에서의 보안 사고는 국가적인 재앙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망의 단 1%에 문제가 생겨도 약 1조40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서비스업, 특히 금융업에서는 이미 하루가 멀다 하고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 보안 사고가 터지고 있어 경각심이 고조된 상태다.
산업연구원은 선진국의 정보보안 관리·감독체계가 통합된 반면에 우리나라는 부처별로 분산돼 있어 사고 발생 때 정책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 사고에 대비해 대응기관을 하나로 통합하고 IT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융압보안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