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에 따르면 출범이후 1년 동안 박근혜 정부의 공약이행률은 약 40%다. 204건의 공약 중에서 80건을 처리한 결과다.
민주당의 계산도 큰 차이는 없다. 다만 관점이 다를 뿐이다. 최근 민병두 민주당 의원은 “핵심공약 121개중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공약 등 60개가 파기·후퇴·지연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민 의원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의 공약이행률은 50% 안팎이 된다.
역대 정부의 공약이행률과 비교했을 때 보다 낮은 새누리당의 수치를 적용하더라도 박근혜 정부의 공약이행률은 상당히 높다. 김대중정부의 공약이행률은 18.2%, 노무현정부는 8%, 이명박정부의 공약이행률은 27.4%였다. 역시 새누리당 자료가 기준이다.
김대중정부와 이명박정부의 경우는 임기 후, 노무현정부는 임기 1년 전을 기준으로 한 수치다. 박근혜정부는 출범 1년 만에 40%의 이행률을 보였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단순한 이행률보다는 핵심공약이 지켜졌는지가 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경제민주화·복지정책·정치개혁 등에서 핵심공약의 후퇴나 불이행은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는 주장이다.
김대중정부는 국민소득 3만 달러, 경제성장률 6~7%, 물가상승률 3%, 금리 7% 등을 경제분야 핵심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지키지 못했다. 2002년 국민소득은 1만1585 달러, 경제성장률은 5년 평균 4.4%, 물가상승률은 3.5%, 금리는 9.4%였다. 정치분야에서 내각제 개헌 약속 역시 지켜지지 않았다.
노무현정부는 경제성장률 연 7%, 250만개 일자리 창출 등을 경제분야 핵심공약으로 내걸었다. 실제 성장률은 5년 평균 4.2%였고, 일자리 창출은 100만개 정도에 그쳤다. 수도 이전 문제는 이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행정도시 수준에 머물렀다.
이명박정부는 7% 경제성장률, 4만 달러 국민소득, 7위의 경제대국을 약속했다. 이른바 ‘747’ 공약이다. 이 공약은 실제 수치를 거론하는 게 무의미할 정도로 지켜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