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위안부로 강제 연행돼 혹사 당했다는 인도네시아 여성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일본 아사히 신문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1942년 일본이 점령했던 인도네시아에는 "일본군에 끌려가 위안부 생활을 해야했다"고 증언하는 여성들이 다수 있으며 대부분이 '강제'연행됐다.
이들은 일상생활을 하던 중 예고 없이 끌려가 3~4개월 위안소 생활을 해야했으며 일부는 오전에는 일본 공장에서 일을 하고 밤에는 위안부 생활을 해야했다.
아사히 신문은 지난 10월 13일 정보공개로 입수한 위안부 관련 외교문서를 토대로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 확대를 피하기 위해 한국에서 실시한 위안부 피해자 증언 청취조사를 동남아시아에서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후 실제 피해자 증언을 듣기 위해 특별 취재반을 구성해 인도네시아 위안부들을 만나왔으며 이를 통해 생생한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위안부 여성들 뿐 아니라 당시 상황을 보았던 목격자들의 진술도 들을 수 있었다.
당시 상황을 알고 있는 한 인도네시아 남성은 "일본군은 당시 텐트 3개를 설치해 7명의 여성을 감금했으며 이들을 연행한 사람은 지역을 관리했던 일본병이었다"고 말했다.
금전을 받았는지 도망칠수는 없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는데 피해 여성들 대부분이 "지키는 사람들이 있었다" "보복이 무서워 도망칠 수 없었다" "돈을 받지 않았다"는 공통된 대답을 했다.
아시아신문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전역에 40개 정도의 위안소가 있었으며 이곳에서 생활한 위안부는 300명이 넘는다.
또 인도네시아에는 한국과 중국, 대만 출신 위안부도 있었으며 대부분 촌락 단위로 모집됐다. 일본군이 직접 관리한 위안소도 있었지만 특정 부대가 독자적으로 여성을 모아 자신들만 이용한 사설 위안소도 다수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개별 평화조약에 입각해 2억 2000만달러(약 2335억원)를 배상했고 전후 처리 일환으로 1억 8000만달러(약 1910억원)의 경제협력을 실시했다.
경제 발전을 우선시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이 공적개발원조(ODA)를 하는 일본과 관계가 악화할 것을 우려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위안부 문제는 정치문제화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