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남북 당국 대화로, 2002년 박근혜 대통령 방북 새삼 주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822003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기자

승인 : 2013. 06. 07. 11:26

김정일과 면담서 ‘7ㆍ4 공동성명ㆍ이산가족ㆍ서울답방’ 논의 2002년 만찬 함께한 장성택, 이번 대남 제의 밑그림 ‘역할론’ 관측
6년 만에 남북 장관급 회담이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난 2002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방북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은 이례적으로 당국간 회담을 열자면서 7ㆍ4 남북 공동성명을 언급하고 개성공단은 물론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 가능한 의제로 예시했다. 우리 정부도 남북 장관급 회담 장소로 서울을 제안했다. 이런 내용이 10여년전 박 대통령의 방북 당시 논의됐던 내용과 겹치고 있다.

특히 조평통은 지난 1972년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주도로 체결된 7ㆍ4 공동성명 발표일을 공동 기념하자고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02년 방북 당시 북측과 7ㆍ4 공동성명 문제른 논의한 바 있다. 그래서 북한이 이번 제안을 하면서 박 대통령의 2002년 방북 때 논의됐던 내용을 다분히 의식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02년 5월11일부터 3박4일간 한국미래연합 창당준비위원장 및 유럽-코리아 재단 이사 자격으로 평양을 전격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직접 만났다. 당시 박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이산가족 정례 면회소 설치와 6ㆍ25 전쟁 당시 행방불명된 국군의 생사확인, 금강산댐 남북 공동조사, 북한 축구국가대표단 초청 등을 제의했다. 김 위원장은 전부 흔쾌히 수용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면회소 설치 장소는 금강산 관광길의 적당한 곳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당시 박 대통령이 언론에 밝힌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또 당시 김 위원장에게 “(서울) 답방 약속을 지켜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고,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또 당시 김 위원장에게 7ㆍ4 남북공동성명의 의미를 여러 차례 강조했다.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 통치 시절에 합의된 7ㆍ4공동성명은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이라는 ‘통일 3원칙’을 제시한 합의다.

또 중상비방과 무력도발 중지, 다방면적 교류, 남북 적십자회담 성사, 서울과 평양을 잇는 직통전화 가설 등 남북이 첨예하게 대치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내용을 담았다.

당시 김 위원장은 7ㆍ4 남북공동성명 관련 내용을 말하고 박 대통령은 김일성 주석과 박정희 전 대통령간에 얽힌 비사를 화제에 올리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북한이 전날 제안에서 7ㆍ4 남북공동성명과 이산가족 문제를 언급한 것이나, 우리 정부가 서울을 회담 장소로 제안한 것에는 지난 2002년 박근혜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단독 면담시 논의됐던 내용을 ‘승계’하는 듯한 느낌마저 주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일각에서는 북한 측의 태도변화에 ‘장성택 역할론’을 제기했다.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은 지난 2002년 박 대통령의 방북 시 박 대통령과 직접 만난 실력자다.

박 대통령은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단독 면담 뒤 김 위원장과 김용순 노동당 중앙위 비서, 장성택 당시 노동당 조직부 제1부부장 등과 2시간 정도 만찬을 함께 했다. 현재 북한 최고위층 가운데 장 부위원장은 박 대통령을 직접 만난 유일한 인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당시 박 대통령의 방북내용을 잘 아는 그가 당시 박 대통령의 방북 논의내용을 기초로 대남(對南) 제안의 밑그림을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정부 일각의 분석이다.

나아가 일부 정부 관계자들은 지난달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중국 특사 파견 이후 북한내 대표적 ‘강경파’인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보다는 ‘협상파’로 대표되는 장 부위원장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김정은 체제의 후견인 역할을 해온 장 부위원장은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 같은 군사적 도발 대신 경제개혁 조치와 특구 조성 및 외자 유치를 중심으로 한 경제발전을 도모한 인물로 평가된다.

최영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