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제민주화의 변죽, 협동조합이 뜬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777124

글자크기

닫기

윤광원 기자

승인 : 2013. 03. 06. 16:06

* 골목상권 자영업, 유통구조 개선의 대안
아시아투데이 윤광원 기자(세종) = 경제민주화의 실천적인 중요 수단의 하나로 협동조합이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협동조합기본법 발효 이후 다양한 협동조합들이 설립되면서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의 자생력 확보,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소비자운동 등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은 협동조합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최근 부산에선 동네슈퍼 점주 230여 명이, 대구에선 동네빵집 주인 6명이 협동조합을 만들었다. 거대 유통업체와 재벌 계열 빵집에 맞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공동브랜드로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원재료 공동구매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광진구의 중곡재래시장 상인들은 이미 지난 2004년부터 협동조합에 눈을 떴다.

전통 술을 지키려는 영세한 장인들도 '우리술 협동조합'으로 공동구매·판로 개척에 나섰고 대리운전 기사들이 결성한 '우리들의 기업'은 제1호 등록 협동조합이다.

폭리와 부실로 사회문제가 됐던 상조업계에서도 협동조합이 등장했는데 이미 조합원이 2000명을 넘어섰다. 

이들은 당초 손익분기점을 조합원 1000명으로 잡았었다. 상조 협동조합은 일반 상조회사에서 수십만원에 판매하는 수의를 수만원대에 공급한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동통신 소비자들의 협동조합으로 조합원 100만명이 목표다. 

소비자의 집단세력화로 통신비 거품을 없애자는 취지인데, '관제 협동조합'인 농협·수협 등이 아닌 진정한 한국형 거대 협동조합이 탄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살림' 'IFood' '두레' '여성민우회' 등 4대 생협은 이제 굳건한 뿌리를 내렸다.

연 매출이 7000억원에 육박하는 이들 생협은 특히 젊은 엄마들이 많이 찾는데, 그만큼 이 곳의 먹거리는 아이들에게 안심하고 먹일 수 있다는 신뢰를 받고 있다.

더욱이 중간 유통단계를 없애고 마케팅비용이나 점포임대료를 최소화, 농민에겐 높고 안정적 수익을 제공하고 도시 소비자들에겐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을 대형마트보다 더 싸게 공급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10번째 국정과제로 '협동조합 및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로 따뜻한 성장 도모'를 내세웠다.

박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도 "콩 반쪽도 나눠먹고, 까치밥을 남겨놓는 공동체의 가치를 우리 자본주의의 새로운 모델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협동조합 참 좋다'라는 저서를 낸 전문가인 김현대 한겨레신문 선임기자는 "경제민주화의 또 다른 모습이 협동조합"이라며 "주주이익 극대화를 숭배하는 자본주의 기업과 협동조합 기업이 공존하는 경제가 인간의 본성에 더 부합되고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정태인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원장은 "경제민주화를 가장 폭넓게 정의하면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노동자들이 한표를 행사하는 것이다. 재벌개혁 이야기를 하는 것도 의사결정권이 오너에게 몰려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협동조합은 그 자체가 경제민주주의"라며 "협동조합의 비중이 커질수록 경제 전체에서도 민주주의가 실현된다"고 말했다.
윤광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