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 윤희훈 기자 = 특사파견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던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특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한 이유가 궁금하다.
첫 특사 파견지로 미국이 아닌 중국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박 당선인이 중국을 선택한 것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 관련 대북 제재, 자유무역협정(FTA) 등 협의할 내용이 산적해 있는데다 자신이 공약으로 내세운 한·중 관계 내실화를 조기에 추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박 당선인은 한·중 관계를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걸맞게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했다.
이런 상황에 차기 외교부장으로 유력한 장즈쥔(張志軍) 상무부부장을 정부 특사로 보내온 중국이 우리측에 특사 파견을 요청한 것을 거절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동북아 정세와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해서는 중국과의 협력이 점차 강조되는 분위기다.
한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정부 안팎에서는 이 같은 복합적인 상황을 고려해 중국을 첫 특사 파견지로 결정했을 것이라는관측이 많다.
특히 이번 특사단에 포함된 한석희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이 미국과의 관계뿐 아니라 대중 관계도 중요시해서 세계 주요2개국(G2) 국가와 등거리 외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어 그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교수는 한 칼럼에서 “미국·중국과 모두 적절하고 적당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각자의 장점을 활용해 관계를 강화해 가는 전략이 최선의 방법”이라며 “미국과는 동맹적 안보 관계를 강조하고, 중국과는 경제적 동반자 관계를 강조하면서 등거리식 외교를 펼치는 대미· 대중 정책으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당선인측은 이번 특사 파견에 대해 ‘답방’으로만 한정하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이번 특사 파견 결정에 대해 “중국 정부의 특사 파견에 대한 답방 특사 형식”이라면서 “(나라별 특사 파견) 순서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또 “현재 미국에서도 특사파견 요청이 있었다”며 “미국과도 특사파견 절차를 논의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해 조만간 미국에 특사가 파견될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