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일 '최근 국제곡물가격 상승요인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라고 우려했다.
지난 2009년 기준 OECD 34개국 중, 한국의 곡물자급률(26.7%)은 29위다.
이 보고서는 곡물자급률을 끌어올리려면 쌀 소비를 촉진하고 우리 밀 생산량을 늘려, 국내 생산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 곡물가격은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바이오 연료 의무할당제 도입을 법제화하는 것도 곡물가격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외국에서 식량을 안정적으로 들여올 방법도 검토 중이다.
지난 5월 필리핀과 체결한 농업개발사업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지원 양해각서(MOU)가 그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과 농업개발협력을 강화해 비상시에 안정적으로 곡물을 조달하려는 조치다.
민간이 외국 농업개발에 나서면, 자금 지원도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주요20개국(G20),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유엔 등 다자간 협의체는 물론 주요 곡물 수출국과의 양자 면담을 통해, 지난 2008년처럼 수출제한 정책으로 곡물가격이 폭등하지 않도록, 국제공조를 추진할 계획이다.
곡물 선물시장의 투기세력을 견제할 장치도 필요하다고 재정부는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