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우리나라 곡물자급률 OECD 최하위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691225

글자크기

닫기

윤광원 기자

승인 : 2012. 09. 02. 12:59

재정부 "국내 곡물생산기반 확충해야"
 정부가 식량안보 차원에서, 국내 곡물생산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최근 국제곡물가격 상승요인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라고 우려했다.

지난 2009년 기준 OECD 34개국 중, 한국의 곡물자급률(26.7%)은 29위다.

이 보고서는 곡물자급률을 끌어올리려면 쌀 소비를 촉진하고 우리 밀 생산량을 늘려, 국내 생산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 곡물가격은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바이오 연료 의무할당제 도입을 법제화하는 것도 곡물가격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진단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미국 측에 이 규정을 잠정 유예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대선을 앞둔 미국 정부가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외국에서 식량을 안정적으로 들여올 방법도 검토 중이다.

지난 5월 필리핀과 체결한 농업개발사업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지원 양해각서(MOU)가 그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과 농업개발협력을 강화해 비상시에 안정적으로 곡물을 조달하려는 조치다.

민간이 외국 농업개발에 나서면, 자금 지원도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주요20개국(G20),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유엔 등 다자간 협의체는 물론 주요 곡물 수출국과의 양자 면담을 통해, 지난 2008년처럼 수출제한 정책으로 곡물가격이 폭등하지 않도록, 국제공조를 추진할 계획이다.

곡물 선물시장의 투기세력을 견제할 장치도 필요하다고 재정부는 강조했다. 



윤광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