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크게 △이통통신사업자(MNO)와 비교해 열세인 MVNO 사업 규모 및 사업 노하우 부족 △MVNO를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 미비 △MNO의 지원부족 등의 문제를 꼽습니다.
물론 다 맞는 말입니다. 이들 3박자가 어우러지지 않는다면 MVNO 서비스는 '빛좋은 개살구'에 그치고 말겠죠.
최근 MVNO 사업자 관계자들에게 사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힘든 부분에 대해 물었습니다. 도매제공대가 현실화(현재 소비자 요금의 70%를 MNO에 지급), 롱텀에볼루션(LTE) 망 법률 제정, 데이터 도매매가 하향, 해외 로밍 서비스 제한 등을 지적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단말기 수급과 마케팅 문제였습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MNO들이 MVNO 사업초기 일정량의 중고단말기를 지원하긴 하지만 대부분 2년 이상 지난, 한마디로 '한물 간 폰'들이죠. 이 마저도 수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MVNO 대리점단에서 자체적으로 단말기를 확보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총 18개의 MVNO 사업자 중 CJ헬로비전, KT 파워텔 등 대기업 계열사들의 경우는 상황이 좀 나은 편입니다. CJ헬로비전의 경우 올 1월 MVNO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갤럭시S2', '베가 레이서' 등 최신 스마트폰을 다수 확보했습니다. 내막은 알 수 없지만 후발 사업자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셈이죠.
얼마 전 한 제조자 관계자에게 MVNO 전용 스마트폰 제작 계획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사업자 당 10만명도 안되는 가입자들을 위해 별도의 스마트폰 제작은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그나마 5월 부터 시행되는 이동전화 식별번호(IMEI)제도 즉,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상황은 좀 나아지겠죠. 고가 스마트폰을 구입할 여력이 없는 소비자들이 중저가 스마트폰을 구입해 MVNO 서비스에 직접 가입하면 되니까요.
또 한 가지 MVNO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부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방통위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대국민 홍보 캠페인을 추진하고 통신사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 제공을 강화해 나갈 방침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방통위의 대국민 홍보 캠페인은 찾아볼 수 없고, 이통사 홈페이지에서도 MVNO 관련 정보들은 전무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