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방공무원 임용 포기자 급증, 제도 개선 ‘시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527942

글자크기

닫기

이대희 기자

승인 : 2011. 09. 15. 15:48

국가직, 서울시 등 중복 합격, 지자체 인력수급 차질 빚어
[아시아투데이=이대희기자] 공무원 임용시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응시자 대부분이 국가직, 서울시, 지방공무원 등에 중복으로 시험을 치르면서 지방공무원 합격자가 임용을 포기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복 지원으로 인해 평균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공무원 공개경쟁임용시험에 탈락하는 선의의 피해자까지 속출하고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가 집계한 연도별 경기도 공무원 임용실태 조사표에 따르면 2008년 최종합격자 수가 2026명 중 202명이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9년 599명 중 59명, 2010년 935명 중 132명이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듯 적잖은 인원이 지방공무원 경쟁공개 임용시험에서 최종합격을 하고도 타 기관에 중복 합격 등으로 임용포기 또는 임용 후 곧 바로 의원면직을 하는 사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험에 탈락한 수험생들의 제도 개선 주장이 설득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는 각 지자체마다 인력 수급에도 큰 차질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경기 양주시의 경우 2011년 제1회 신규 임용을 통해 34명을 충원하고자 했으나 이들 중 8명이 타 기관 중복합격으로 임용을 포기 인력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사례에 있어 A모 신규 공무원은 "서울시 시험과 경기도 시험에 중복합격 하였으나 최종합격이 결정 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밖에 없어 자신 때문에 탈락한 사람에게는 미안하지만 수험생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고충을 전했다.

반면 2년 전 공무원시험 필기시험에 합격했으나 면접시험에서 탈락한 B모씨는 "중도포기한 중복합격자가 없었으면 더 일찍 합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해 공무원 임용시험에 중복합격 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대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