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T-KCT’ MVNO 사업 사실상 결렬…재협상 시기는 미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497207

글자크기

닫기

정성구 기자

승인 : 2011. 07. 01. 11:18

정성구 기자] SK텔레콤과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의 이동통신재판매(MVNO) 서비스 사업이 사실상 결렬됐다.

1일 업계에 따르면 KCT 대표와 SK텔레콤 고위 관계자가 30일 밤 늦게까지 방송통신위원회의 중재안을 두고 협상을 벌였지만 입장차이가 커 사실상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협상의 여지는 남겨뒀지만 언제쯤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을지는 미정인 상황. 

이들의 주장이 엇갈렸던 부분들은 영상통화·장문문자메시지(MMS) 도매대가와 설비설치개조비용 분배 문제, 다량구매할인율 산정 문제 등이다.  

영상통화·MMS 도매대가와 관련해서는 KCT는 음성통화처럼 도매대가가 적용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SK텔레콤은 의무제공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에 도매대가로 주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또한 설비설치개조비용 문제에 대해서는 KCT는 방송통신위원회의 MVNO 지원방안에 따라 2012년 말까지 설비설치비용이 유예되는 만큼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뒤 추후 비용분담 문제를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KCT는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 2012년 말까지 시간을 두고 합의를 하자고 제의했는데 SK텔레콤에서 서비스 시작 전에 합의를 끝내자고 통보했다”며 "SK텔레콤은 우리가 MVNO 첫 사업자이기 때문에 완벽한 모델을 만들어 놓고 따라오라는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KCT는 자사 고객이 200만명 이상이 될 때까지 전산인프라 대가를 요구하지 말아 달라는 입장”이라며 "몇 년이 걸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확실히 정해 놓고 진행하는게 맞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다량구매할인율 문제에서는 서로의 입장이 더욱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KCT는 “다량구매할인율은 31~47%까지 유동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는 문제지만 협상 초기 SKT는 방통위가 내려준 40% 가이드라인만을 고수했었다”며 “MVNO 사업이 매출대비 원가비율이 80%인 상황에서 고객들에게 20% 남짓의 할인율이 돌아가려면 60%선은 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KCT 측에서 5~10%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할인율이 50%를 넘어가게 된다”며 “이미 사업을 시작은 다른 업체들과도 같은 잣대로 협의를 했고 진행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KCT 측의 무리한 요구로 합의가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의 또 다른 MVNO 사업자인 '아이즈비전'은 예정대로 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정성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